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박찬일 노포열전] 옛 인천의 마지막 흥을 맛보다, 인천 신포동 대전집

전통요리 ‘스지탕’과 싱건지가 걸작…요즘은 덕적굴이 제철

2017.01.09(Mon) 10:36:16

인천은 이 땅의 최초 개항지이자 번성하던 항구도시였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산업의 제일 전진기지였다. 서영춘 선생의 “인천 앞바다에 사이다가 떴어도 곱뿌가 없으면 못 마십니다” 운운하던 사설도, “인천에 배 들어오면 행복하게 해줄게”하던 이야기도 모두 인천의 번성을 의미하는 상징이었다. 

인천은 일제강점기에 서울과 유이하게 ‘미두취인소’(일종의 쌀 선물거래소)가 있을 정도로 경제적으로 큰 도시였다. 돈과 남자들, 여자와 술이 넘쳤다. 이런 분위기는 80년대까지 이어졌다. 특히 중앙동, 신포동 일대는 인천 최고의 중심지였다. 시청이 이전하고, 새로운 주택지가 개발되면서 구시가로 밀려버렸지만, 여전히 옛 인천의 흥취가 흐릿하게 남아 있다. 특히 문화예술인들, 이 근처에 많던 회사원들이 다니던 술집골목이 신포동에 마지막 흥을 남겨놓았다. 

1972년 개업한 ‘대전집’의 최재성 사장(51)은 2대째 가게를 잇고 있다. 창업주인 어머니 오정희 여사(78)도 가게에 얼굴을 내밀고 있다. 대전집은 백항아리, 신포주점, 다복집과 함께 신포동, 아니 인천 구시가의 어떤 상징이었다. 손님들이 끓었고, 매일 화제가 만들어졌다. 이제는 옛 영화를 기억하는 올드팬들과 언론을 보고 찾아오는 젊은 층들이 가게의 맥을 이어주고 있다.

2대째 가게를 잇고 있는 최재성 사장(오른쪽)과 함께 대전집 앞에 섰다.


“장사가 정말 잘되었죠. 하루에 족을 얼마나 많이 삶았는지 모릅니다. 요즘은 옛날보다 메뉴가 줄었어요. 그래도 스지탕과 족발 같은 건 여전합니다.”
스지탕(소 힘줄탕)은 일제강점기부터 있던 요리다. 일본인들이 좋아하던 음식이었다. 이것이 이 골목의 전통요리로 남았다. 소 힘줄을 푹 삶고 고춧가루와 간장으로 양념해서 끓여낸다. 시원하고도 얼큰하다. 무엇보다 힘줄 씹는 맛이 좋다. 보통 서울에서 도가니탕이니 하는 것에 들어가는 게 대개 이 소 힘줄이다. 이 ‘스지’ 값이 요새 아주 비싸다. 특히 국산은 더하다. 그래도 기어이 이 메뉴는 지켜갈 것이라고 한다. 대전집의 상징이니까.

“보쌈도 유명했는데 이제는 안 해요. 손님이 줄었으니까. 그래도 주말에는 자리가 없어요”
한때 주방에만 직원이 다섯 명이 넘었다. 족발 수십 개가 나갔고, 삶아서 식힐 틈도 없이 팔렸다. 전도 엄청나게 많이 팔렸다.
“옛 기억을 찾으러 오시는 분들이 꽤 많죠. 이민 갔다가 오시는 분, 나를 보고 ‘어머니 얼굴이 있네’ 하며 끌어안는 분도 있고. 제발 없어지지 않게 유지해달라고 간청들을 하십니다.”

대전집은 원래 적산가옥이었다. 일본인이 패망 후 두고 간 건물을 말한다. 불하 등의 과정을 거쳐 민간에 넘어가는데, 어머니 요여사가 힘들게 남의 집 일해서 번 돈으로 사들인 집이었다. 수리해서 오늘에 이른다.

요즘 대전집에 가면 덕적굴(왼쪽)을 먹어봐야 한다. 덕적도에서 캔 자연산 굴인데, 아는 사람들만 구해서 먹는다. 숟가락으로 떠서 간장을 살짝 찍어 먹는다. 대전집의 또 하나의 명물은 스지탕(소 힘줄탕). 일제 강점기부터 이어져왔다.


무엇보다 이 집의 ‘싱건지’가 아주 걸작이다. 일종의 동치미인데, 짜게 담가서 발효시킨 후 맑은 찬물에 섞어낸다. 탁월한 맛이 있다. 자구 청해 먹게 된다. 무려 삼 년을 묵은 것이라고 한다. 
“이게 소금과 재판을 해야 하는 일입니다. 하하.”
재판이란, 그만큼 까다로운 소금 다루기란 뜻이다.

이 집에서 요즘 철에 꼭 먹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덕적굴이다. 덕적도는 인천에서 한 시간 걸리는 앞바다의 섬이다. 이곳의 자연산 굴을 할머니들이 캐서 인천으로 들어오고, 아는 사람들만 구해서 먹는다. 대전집의 오랜 겨울 메뉴다. 덕적굴은 까맣고 잘다. 제대로 먹는 법을 알려준다. 젓가락을 쓰지 않는다. 숟가락으로 푹 굴을 일고여덟 개쯤 푼다. 그다음에 숟가락 밑을 간장에 대고 살짝 찍는다. 그럼 간이 짭짤하게 맞는다.

역시 ‘선수’들이 많이 오는 집이나 ‘가라앉은’ 막걸리도 있고, 느긋하게 소주를 마실 수 있다. 이제 창업 사십 년 넘은 노포가 되고 있다. 가게를 나서는데, 2층에 거주하는 오정희 여사가 내려온다. 이제 장사할 기운은 없다는데 걸음이 기운차다. 노포의 한 시대를 주무른 여걸이다. 참고로, 인근 차이나타운을 소재로 한 너무도 유명한 소설 ‘중국인거리’의 작가 오정희 선생과 성함이 같다.

박찬일 셰프


[핫클릭]

· [박찬일 노포열전] ‘가든’은 못 따라하는 소갈비의 역사, 해운대 소문난 암소갈비집
· [박찬일 노포열전] 부산 사람들의 ‘소울푸드’, 범일동 할매국밥
· [박찬일 노포열전] 노가리골목의 시조, 을지로 오비베어
· [박찬일 노포열전] 된장찌개마저 명물, 을지로 통일집
· [박찬일 노포열전] ‘홍어의 전설’ 목포 덕인집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