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금융당국 지적에도 신한금융 사외이사 '재일교포 중용' 논란

민간연구소도 "독립성 결여" 의견…신한 "전문성 미흡 지적, 검증 강화해 선임"

2018.03.26(Mon) 10:57:27

[비즈한국] 지난 22일 신한금융지주(신한금융)는 제17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신한금융의 주요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과 사외이사 선임이었다. 주주들의 특별한 반대 없이 안건은 모두 의결됐다. 그 결과 이상경·이정일·이흔야 전 신한금융 사외이사가 임기 만료로 물러났고 그 자리에 김화남·박병대·최경록 사외이사가 선임됐다.

 

이정일·이흔야 두 명의 전직 사외이사는 재일교포 출신이다. 새롭게 선임된 김화남 제주여자학원 이사장 겸 김해상사 대표이사와 최경록 CYS 대표이사 역시 재일교포 출신. 재일교포인 히라카와 유키, 박안순 사외이사까지 10명 중 4명의 신한금융 사외이사가 재일교포다. 여기에 필립 에이브릴 사외이사는 BNP파리바증권 일본 현지법인 CEO(최고경영자)다. 일본 측이 신한금융 사외이사 절반을 장악한 셈이다.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신한금융 본사. 사진=박정훈 기자

 

금융권에서는 재일교포들이 보유한 신한금융의 지분을 17~20% 수준으로 추정한다. 주주총회가 열리기 전인 지난 15일,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는 “특정 부류의 주주들이 그룹을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경영진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 특정 부류의 주주들을 지배주주 그룹과 동일하게 취급한다”며 “김화남·최경록 사외이사는 사외이사로서 독립성이 결여됐다고 판단한다”고 선임 반대 의견을 냈다.

 

민간 연구소뿐 아니라 금융당국도 금융사 사외이사 선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지난 15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방안’은 “사외이사가 주주일반을 대변해 경영진의 활동을 견제하는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경영진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9월 금융감독원은 신한금융에 대한 경영유의사항을 공시했다. 금융감독원은 “재일교포 주주가 추천하는 사외이사의 경우 관행적으로 전문 분야가 아닌, 출신 지역별로 후보군을 관리하는 등 전문성 제고 노력이 부족하다”며 “재일교포 출신을 포함한 사외이사 후보군에 대해 전문분야별 관리 및 자격요건 검증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꼭 집어 지적했다.

 

김화남 사외이사는 1997~2010년 신한생명, 1999~2002년에는 신한증권 사외이사를 맡았다. 최경록 사외이사도 2010~2015년 신한생명 사외이사를 맡았고, 그의 부친인 최영석 씨도 2000년대 중반 신한금융 사외이사를 맡은 바 있다. 나눠먹기라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신한금융 경영진은 재일교포 주주들과 긴밀한 사이로 전해진다.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은 지난해 2월 한동우 전 신한금융 회장, 위성호 신한은행장과 함께 오사카를 방문해 재일교포를 만났다. 한동우 전 회장 역시 매년 초 일본을 방문해 재일교포 주주들과 친분을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 전 회장은 신한금융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안 그래도 정부가 신한금융을 ​바라보는 시선이 좋지만은 않다. 지난 2월 검찰 과거사위원회가 라응찬 전 신한금융 회장이 연루된 ‘남산 3억 원’ 사건을 ‘진상규명이 필요한 12건의 우선 조사 대상’에 포함했기 때문이다. 남산 3억 원 사건은 2008년 라 전 회장이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의 지시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에게 3억 원을 남산에서 전달했다는 의혹이다. 검찰은 2015년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무혐의 처분했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돈 준 사람은 있는데 받은 사람이 없다면 받은 사람은 검찰에서 찾아내야 될 것 아닌가”라며 “준 사람이 있고 받아간 사람이 있는데 그것을 무혐의 처리하느냐”고 비판했다.

 

신한금융 사외이사 선임을 놓고 금융당국은 아직까지 특별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그렇지만 정부와 신한금융 간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는 가운데 재일교포 사외이사 선임까지 강행해 긴장감이 흐를 수밖에 없다.

 

김화남, 최경록 사외이사와 함께 선임된 박병대 사외이사의 이력도 눈길을 끈다. 판사 출신인 박 사외이사는 서울고법 부장판사, 대전지법원장을 거쳐 2011년 대법관에 취임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12기 동기로 정치권과의 네트워크가 막강한 것으로 전해진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재일교포 사외이사 숫자가 많다고 지적한 게 아니라 다양성과 전문성이 미흡하다고 지적했고, 우리는 관련 검증을 강화해서 사외이사들을 선임했다”며 “문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는 수백 명인데 그 중 한 명이라고 친문 인사 영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반박했다.​ 

박형민 기자 godyo@bizhankook.com


[핫클릭]

· 금융지주 사외이사 대거 교체, '거수기' 걷어내니 '코드인사' 논란
· [CEO 라이벌 열전] '사태 딛고 리딩 각축' KB금융 윤종규 vs 신한금융 조용병
· '채용비리-적폐청산 묘하게 겹치네' 사정권에 든 금융 CEO들의 운명
· 금융권 채용비리 연루자 입사 취소? 은행 "확인돼도 어려워~"
· 3연임 유력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의 앞길이 '꽃길'이 아닌 까닭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