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자 표기 의무' 약사법 시행 2년 앞두고 식품업계 먼저 나선 까닭
[비즈한국] “그래도 세상이 바뀌나봐요.” 시각장애인 B 씨가 말했다. 최근 화장품이나 컵라면 등에 ‘점자표기’가 된 제품이 늘었다. 약사법 개정에 따라 2024년 7월 21일부터는 지정된 ...
전다현 기자 | 2022.04.19 화
[비즈한국] “그래도 세상이 바뀌나봐요.” 시각장애인 B 씨가 말했다. 최근 화장품이나 컵라면 등에 ‘점자표기’가 된 제품이 늘었다. 약사법 개정에 따라 2024년 7월 21일부터는 지정된 ...
전다현 기자 | 2022.04.19 화
[비즈한국] “단속 나오면 호박을 심어라.” “소나무 묘목은 관리 안 해도 된다.” “단속 기간만 피해 가면 된다.”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농지법 위반 면피하기 꿀팁’이...
전다현 기자 | 2022.04.14 목
[비즈한국] 서울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성북동 성당을 지나 올라오면 커다란 대문이 있는 ‘서울 성북동 별서(옛 성락원)’를 만날 수 있다. 2019년 일시적으로 공...
전다현 기자 | 2022.04.13 수
[비즈한국] 장선윤 롯데호텔 전무가 강원도 평창군에 소유한 토지에 대해 농지법 위반으로 ‘농지처분의무’ 통지를 받고, 이후 의무가 소멸하자 방치한 사실이 비즈한국 취재결과 확인...
전다현 기자 | 2022.04.08 금
[비즈한국] “이제 밤기차는 옛말이죠.” 충청북도 옥천군에 사는 A 씨의 말이다. 인구 5만 명이 채 안 되는 옥천군은 그야말로 ‘벽지’다. 서울에서 옥천을 가기 위해서는 2시간 정도 걸...
전다현 기자 | 2022.04.06 수
[비즈한국] 2017년부터 지속해오던 무궁화호 감축의 원인이 코레일의 ‘영업손실’ 때문이라는 사실이 비즈한국 취재 결과 확인됐다. 그동안 코레일은 무궁화호 감축이 ‘영업손실’ ...
전다현 기자 | 2022.04.06 수
[비즈한국] 국내 코로나 감염자 발생 3년 차에 접어들며 배달앱 사용과 온라인 택배 주문은 이제 일상이 됐다. 늘어나는 배달만큼 일회용품 사용과 쓰레기는 증가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
전다현 기자 | 2022.03.31 목
[비즈한국]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집무실 이전 의지를 확고히 하면서, 청와대 주변은 ‘개발 호재’ 기대감이 맴돌기 시작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에 위치한 청와대는 4면이 ...
전다현 기자 | 2022.03.29 화
[비즈한국] “테이크아웃은 300원 추가입니다” 약 두 달 뒤 카페에서 쉽게 볼 풍경이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가 6월 10일부터 시행된다.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자원...
전다현 기자 | 2022.03.25 금
[비즈한국] “이번 전시회를 통해 그동안 드러나지 않은 작가들이 참여할 수 있어서 굉장히 기쁩니다” 2022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에 참여한 한 작가의 말이다. ‘2022 한국미술응원프로...
전다현 기자 | 2022.03.23 수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