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 앞으로도 악순환을 지속할 것인가
[비즈한국] ‘홍춘욱 경제팩트’ 최근 4회에 걸친 연재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이렇다. 1990년 이후 일본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인구감소의 영향이 아닌, 1985년 플라자 합의 이...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 2017.03.07 화
[비즈한국] ‘홍춘욱 경제팩트’ 최근 4회에 걸친 연재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이렇다. 1990년 이후 일본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인구감소의 영향이 아닌, 1985년 플라자 합의 이...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 2017.03.07 화
[비즈한국]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2월 수출증가율이 20.2%로 2012년 2월(20.4%)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수출금액으로도 2012년 2월(463억 달러) 이후 최대 수출금액인 432억...
우종국 기자 | 2017.03.02 목
[비즈한국]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이 미지급 자살보험금 전액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앞으로 두 생명보험사에 대한 금융당국의 최종 제재수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울러 삼성생명과 한...
장익창 기자 | 2017.03.02 목
[비즈한국] 대신증권이 ‘4000만 원 미만의 소액 계좌 실적 불인정’ ‘1억 원 이상의 고액 계좌 고객 유치’ 등으로 성과체계를 변경해 노사 간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지난 24일 금...
민웅기 기자 | 2017.02.27 월
지난 시간까지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해보자면, 1990년대 일본경제가 무너지고 장기불황을 겪게 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버블 형성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실은 버블의 형성보다...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 2017.02.27 월
최근 경제학에서 ‘샤워실의 바보(a Fool in the Shower Room)’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밀턴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가 정부의 섣부른 시장 개입을 비판하기 위...
이승현 저널리스트 | 2017.02.25 토
금윰감독원의 제재결정 직전 교보생명이 미지급 자살보험금 ‘전체 계약건’을 기준으로 지급을 결정하면서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의 향후 입장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보생명의 ...
장익창 기자 | 2017.02.24 금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혐의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수감됐다. 총수 부재 상황 속에 삼성그룹 금융계열사의 핵심인 삼성생명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을 상황...
민웅기 기자 | 2017.02.24 금
지난번 글에서 1980년대 일본 자산시장이 유례를 찾기 힘든 버블을 경험했다는 것을 살펴본 바 있다. 이 대목에서 잠깐 일본의 자산 버블 수준이 어땠는지, 위키피디아에 나온 몇 가지 사례...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 2017.02.21 화
지난번 글 ‘고령화 때문에 일본 자산시장이 붕괴했다고?’에서 1990년대 일본 자산시장 붕괴의 원인이 ‘인구감소’ 때문이 아니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인구감소가 장기불황의 원인이 ...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 2017.02.13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