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덕후

[강찬욱의 나쁜골프] 나에겐 관대하고 타인에겐 엄격한 골프 '내로남불'

결코 당연하지 않은 '일파만파', '멀리건' 등 자기합리화 피해야…룰과 매너 지키는 약속의 스포츠

2025.09.23(Tue) 09:23:48

[비즈한국] 동반자 중에 알아주는 ‘슬로 플레이어’가 있었다. 슬로 플레이어는 늘 같이 동반하기 싫은 동반자 랭킹 상위에 오르는 요주의 골퍼다. 어느 날 문득 ‘슬로 플레이를 고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슬로 플레이어, 그 놈보다 더 느린 놈을 붙여주는 것이다’라는 골프장 화장실에서 본 문구가 생각났다. 결국 또 한 명의 슬로 플레이어가 초빙되었고 두 명의 슬로 플레이어의 라운드가 성사되었다. 내 인생의 모든 라운드를 통틀어 가장 긴 5시간이었다.

 

골프장에서는 누구도 스스로를 ‘무매너 골퍼’라 부르지 않으며, 남을 탓하는 데는 엄격하지만 자신에게는 관대한 태도가 반복된다. 결국 골프는 타인을 보기 전에 나를 돌아보게 하는 자기 성찰의 거울임을 일깨운다. 사진=비즈한국 DB

 

그런데 참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졌다. 두 슬로 플레이어 중 하나가 플레이할 때마다 다른 한 명이 나에게 “저 친구는 느려도 너무 느린데… 좀 심하네”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슬로 플레이어가 다른 슬로 플레이어를 비난하는 비상식적인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아마도 ‘저런 느린 플레이어에 비하면 나는 괜찮네’라고 생각하며 라운드를 마쳤을지도 모르겠다. 슬로 플레이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줘서 개선시키려는 나의 작전은 보란 듯이 너무 쉽게 실패했다. 두 명 다 본인의 늑장 플레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스스로 플레이 시간을 위로하며 라운드를 마쳤기 때문이다.

 

한때, 아니 지금도 정치권에서는 ‘내로남불’이라는 단어가 마구 쓰이고 있다. 상대 당, 반대 진영을 비판하고 공격하면서 늘 하는 말이 “만약 이런 일이 우리 당에서 일어났다면 어떻게 했겠는가”다.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이제는 고유명사처럼 돼버린 이 오래된 조어는 골프 코스에서도 유효하다. 골프를 하면서 수많은 사람을 만났는데 단 한 명의 골퍼도 스스로를 ‘무매너 골퍼’ ‘무개념 골퍼’라고 말한 적은 없었다. 주로 지난 라운드에서 만난 어느 매너 없는 골퍼에 대한 일종의 뒷담화만 무성했다. 참 이상한 일이다. 그 어떤 골퍼도 자신의 매너와 에티켓에 대해 가혹한 잣대로 비판하지 않는다. 골프의 좌우명 중 하나가 ‘본인에겐 엄격하게 타인에겐 관대하게’다. 이 격언을 뒤집어서 ‘본인에겐 관대하게 타인에겐 엄격하게’ 실천하는 것이 바로 ‘골프 내로남불’이다.

 

첫 홀 ‘일파만파’나 ‘올파’를 적는 것은 진짜 스코어가 아니다. 그런 사람들은 정말 이해할 수 없다. 이렇게 말해 놓고 캐디에게 “첫 홀 스코어는 파(par)로 인쇄되어 나오는 거잖아요”라고 말하는 골퍼도 봤다. 분명 골프의 본질이자 골프 룰의 가장 기본적인 근간이 되는 ‘볼은 있는 그대로 플레이하라(Ball played as it lies)’의 중요성에 대해 열변을 토해 놓고 볼을 툭툭 건드려 라이를 개선하는 골퍼도 봤다.

 

‘골프 내로남불’의 끝판왕은 ‘멀리건’이다. “하나 더 칠게”라는 애매한 말로 스스로에게 무한대의 멀리건을 부여하는 골퍼가 있다. 그에게 물어보면 본인이 몇 개의 멀리건을 썼는지도 기억 못할 것이다. 물론 고수가 샷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하수에게 멀리건을 줄 수 있지만, 스멀이라고 불리는 ‘스스로 멀리건’을 시도 때도 없이 남발하는 골퍼가 다른 동반자에게 관대하게 ‘멀리건’을 주는 경우는 많이 못 봤다.

 

골프는 ‘약속’이다. 룰도 약속이지만, 언제 라운드를 할지를 서로 합의하고 정하는 ‘시간 약속’이다. 티타임도 시간 약속이고 라운드 전의 식사 약속도 시간 약속이다. 이 시간 약속도 늘 늦는 사람이 늦는다. 좀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늦는 사람은 못 기다리는 사람이다. 본인은 늦으면서 다른 사람이 늦는 것을 참기 힘든 사람이다. 이 역시 ‘내로남불’이다.

 

골프는 앞으로 나가면서 플레이하는 운동이다. 티샷을 하고 페어웨이를 향하고 파4라면 세컨샷을 하고 그린을 향한다. 우리는 앞으로 앞으로 나아간다. 앞 팀이 밀리면 가끔 뒤를 돌아 지나온 풍경을 보면 내가 티샷한 티잉 구역이 보이고 내가 세컨샷을 한 어느 잔디 위가 보인다. 그 여정을 돌아보듯 가끔 나를 돌아보자. 남을 얘기하기 전에 ‘나’를 이야기해 보자. ‘나는 어떤 골퍼인가’ ‘나는 다시 치고 싶은 동반자인가’ 이 글을 쓰면서 골프 코스 안에서 한없이 부끄러웠던 ‘나’를 돌아본다.​

 

​​필자 강찬욱은?

광고인이자 작가. 제일기획에서 카피라이터로 시작해 현재는 영상 프로덕션 ‘시대의 시선’ 대표를 맡고 있다. 골프를 좋아해 USGTF 티칭프로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글쓰기에 대한 애정으로 골프에 관한 책 ‘골프의 기쁨’, ‘나쁜골프’, ‘진심골프’, ‘골프생각, 생각골프’를 펴냈다. 유튜브 채널 ‘나쁜골프’를 운영하며, 골프를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와 생각을 독자 및 시청자와 나누고 있다.​​ 

강찬욱 작가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강찬욱의 나쁜골프] 위대한 골퍼들의 위대한 골프 명언들
· [강찬욱의 나쁜골프] 낯선 동반자와 즐거운 라운드를 위한 조인골프 '조심10조'
· [강찬욱의 나쁜골프] 골프가 어려운 3만 9472가지 이유
· [이주의 책] '나는 매일 로망 합니다' 일상을 채우는 오늘의 행복을…
· [강찬욱의 나쁜골프] "5만 원 떡볶이에 수박 스테이크?" OB보다 불쾌한 골프장 음식 가격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