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이슈

'이재명'에서 '세종'으로…정치 테마주에 '웃는 자' 누구냐

일부 임원은 현금화, 일부 기업은 유상증자 늘려…금융당국 대책은 모니터링뿐

2025.04.28(Mon) 11:16:42

[비즈한국] 정치의 계절이 다가오면서 정치 테마주도 연일 급등락을 연출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시즌에는 윤석열 테마주와 이재명 테마주의 희비가 엇갈렸다면, 이후에는 세종 수도 이전 가능성과 함께 세종 관련 테마주와 국민의힘 경선 후보들 테마주로 쏠림이 두드러진다. 

 

이에 탑승한 상장사들도 웃고 있다. 실적과 관계없이 주가가 급등하면서 주가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 일부 상장사 임원들은 이 기회를 틈타 주식을 처분해 수십억 원의 차익을 봤다. 금융당국도 모니터링 강화 등 대책을 내놓았지만, 자본시장업계에서는 ‘정치 테마주’ 흐름 뒤에는 이를 만들어내는 설계 세력이 있는 만큼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한다.

 

지난 27일 이재명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

 

#상지건설 10거래일 연속 상한가

 

최근 이재명 테마주의 ‘대장’으로 떠오른 상지건설은 정치 테마주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냈다는 평을 받을 정도였다. 상지건설 주가는 지난 2일부터 17일까지 10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18일에도 장중 상한가까지 치솟으며 최근 2년간 2000~3000원대에 머무르던 주가가 5만 4000원까지 올랐다. 

 

보름 만에 주가가 18배 가까이 급등한 것은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테마주’로 새롭게 합류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회사를 그만둔 옛 사외이사가 지난 대선 때 이재명 캠프에 이름을 올렸다는 것이 이유다.

 

4월 말이 되자 ‘세종 테마주’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상지건설이 28일 현재 2만 5000원대로 고점 대비 50% 넘게 떨어지는 사이 충남에 본사가 있는 계룡건설과 세종시에 땅을 보유한 시멘트 생산·판매 업체 성신양회 주가가 급등했다. 계룡건설은 탄핵 선고 전날인 3일 1만 2700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20일이 지난 23일에는 장중 한때 3만 1750원에 거래됐다. 2.5배 이상 급등한 셈이다. 성신양회도 4월 2일 6750원에 거래를 마쳤던 주가가 22일 1만 5560원까지 2.5배 급등했다. 

 

#홍준표, 한덕수 등 국힘 테마주도 기승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나 출마설이 도는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의 테마주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경남스틸은 최충경 회장이 과거 홍준표 시장이 경남도지사로 재직할 당시 여러 행사에 참석했던 이력 때문에 테마주로 분류돼 주가가 2배 가까이 올랐다. 대한제당은 고 설원봉 회장이 한 권한대행과 경기고 63회 동창이라는 이유만으로 테마주로 묶였다. 탄핵 전후 2700원대였던 주가가 현재 4000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테마주에 묶인 기업들은 웃고 있다. 이재명 후보 테마주로 묶인 코나아이의 최대주주인 조정일 대표는 이달 3일부터 9일까지 주식 45억 원어치(지분율 0.79%)를 장내 매도했다 전체 발행 주식의 1% 또는 50억 원 이상이면 사전 공시해야 하는 의무를 피해갔는데, 이 때문에 ‘꼼수’라는 비판도 쏟아졌다.

 

국민의힘 후보들의 테마주도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지난 23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2차 토론회 미디어데이에 참석한 김문수, 안철수, 한동훈, 홍준표 후보. 사진=국회사진취재단


정치 테마주에 묶인 한 상장사 사외이사는 “오너 입장에서 테마주에 올라간 것은 손해 볼 것이 전혀 없어진 셈”이라며 “주가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고, 혹시 돈이 필요해 주식을 담보로 은행에 대출을 받아야 할 때도 훨씬 더 유리해진다. 회사 가치가 스스로 올라갔으니 이를 즐기는 이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주가가 급등한 상지건설은 유상증자 규모를 기존 계획보다 대폭 확대하고 자금 조달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24일 상지건설은 유상증자 규모를 기존 200억 원에서 914억 원으로 확대한다고 정정 공시를 했다. 최종 확정된 발행가액은 주당 2만 2850원인데, 급등 전 2000~3000원 정도였던 주가를 감안하면 10배 이상 높은 것이다.

 

#테마주 뒤에 ‘세력’이…

 

문제는 이 과정에 기업과 별개의 ‘세력’들이 있다는 점이다. 미리 수십억 원 규모의 주식을 사둔 뒤 주가 급등세를 연출해 ‘테마주’라는 소문을 흘리는 방식이다. 한국거래소는 대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 모니터링 강화 계획을 밝혔고, 금융감독원 역시 현재 정치 테마주 특별단속반을 편성해 운영 중이지만, 시장에선 세력들을 ‘잡을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CB(전환사채) 투자업계 관계자는 “특정 상장사를 인수해 호재를 흘리는 방식의 전통적인 주가조작 사건은 실체가 드러날 수밖에 없는 반면 정치 테마주에 편승해 돈을 버는 방식은 이름이 드러나지 않는다. 호재를 만들어낼 필요가 없다 보니 더 기승을 부리는 것 같다”며 “잘 살펴보면 몇몇 기업들은 수년 전부터 꾸준히 정치인들이나 정치 이벤트의 이름만 바꿔가면서 테마주로 거론됐는데 그런 곳들은 ‘세력’이 계속 들어가 있다고 보면 된다”고 귀띔했다.​ 

차해인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확정, '먹사니즘' 경제 공약 뜯어보니…
· [밸류업 기대주] 주주환원 우등생 메리츠금융, 주가 이어갈까
· 해킹 당한 SKT '유심 무상 교체' 발표했지만 "이미 물량 부족"
· "집도 분담금도 잃고 병만 얻었다" 노량진본동 지역주택사업 조합원의 호소
· 지난해 국민 1인당 국가채무 2295만 원…5년 뒤엔 4000만 원 돌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