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28일 NH투자증권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금융위원회(금융위), 금융감독원(금감원), 한국거래소에 분산된 조사·심리 기능을 합친 조직이다. NH투자증권 임원 A 씨는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는다. NH투자증권은 앞서 7월에도 비슷한 혐의로 금융위원회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증권가에서는 이처럼 금융당국의 조사가 반복되면 NH투자증권의 신뢰도에 악영향이 미칠 것으로 내다본다.
금융위에 따르면 임원 A 씨는 최근 2년 동안 NH투자증권이 공개매수를 주관했던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관련 정보를 지인에게 반복적으로 전달했다. 정보를 받은 이들은 공개매수 사실이 시장에 공표되기 전 주식을 매수하고, 공표 후 주가가 상승하면 전량 매도해 20억 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편취했다.
금융위의 매매분석 및 자금추적 내용에 따르면 공개매수 발표 전후 A 씨와 지인 사이에 주식매매 자금으로 보이는 거액의 금전거래가 빈번하게 발견됐고, 이들이 부당이득을 공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도 포착됐다. 또 정보를 전달받아 주식을 매매한 혐의자들은 친인척 등 명의의 차명 증권계좌를 다수 사용했고, 사용한 차명 계좌도 수시로 바꿔가며 매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혐의자들이 증권사나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회피하려 한 것으로 의심받는 이유다.
A 씨의 혐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증권가에서는 이번 압수수색이 NH투자증권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금융위는 앞서 7월 이번 사건과 별개로 또 다른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를 받는 NH투자증권 직원을 압수수색했다. 비슷한 혐의가 NH투자증권 내에서 연이어 발생한 것이다.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는 올해 1월 신년사에서 “내부 통제 기준과 규정, 원칙 준수와 건강 관리 등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며 “영업을 지나치게 저해하는 요소들은 줄여가겠지만 고객 보호와 임직원 보호를 위한 규정들은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는 내부 통제에 실패한 셈이다.
향후 실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NH투자증권은 공개매수 주관 증권사로서 독보적 지위에 있다. 2023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총 55건 중 절반이 넘는 28건을 주관했다. 하지만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혐의가 사실로 인정되면 NH투자증권의 신뢰도가 하락할 수 있고, 현재의 독보적 지위도 지키기 어려워질 수 있다. 더구나 이번 압수수색 대상은 일반 직원이 아니라 임원이기에 더욱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윤병운 대표는 사태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이에 CEO(윤병운 대표)는 해외 출장 중인 임원 A 씨에게 즉시 복귀를 명하여 적극적으로 조사에 응하고 소상히 소명하도록 지시했다”고 전했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도 사실관계를 면밀히 규명하는 데 만전을 기하고, 추후 확정된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윤병운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로, 조만간 NH투자증권 차기 대표 선임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표는 그간 실적이 나쁘지 않아 지속적으로 연임설이 나오던 상황이었다. 일각에선 이번 압수수색으로 그의 연임설에 힘이 빠질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박형민 기자
godyo@bizhankook.com[핫클릭]
·
수협중앙회, 도이치모터스 특혜 대출 논란 국감서 재점화
·
'카나나에 챗GPT까지' 카톡, 이중 AI 전략 통할까
·
케이뱅크, 수장 교체냐 안정이냐…변수는 IPO
·
[단독] 강남 사옥 비운 팀프레시, 3평 공유오피스로 사무실 이전
·
[단독] 최재천 전 의원, '노재헌 후임'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 선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