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CEO 라이벌 열전] '서점 그 이상' 예스24 김기호·김석환 vs 알라딘 조유식

예스24, 전문경영인&오너2세 공동대표 '디지털'…알라딘, 운동권 출신 사업가 '간편결제' 주력

2018.05.23(Wed) 23:23:05

[비즈한국] 최근 들어 국내 1·2위 온라인 서점 예스24와 알라딘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모바일 쇼핑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오프라인 매장을 확대하거나 중고 서적을 다루는 것만으로는 업계에서 살아남기 힘들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예스24는 디지털 콘텐츠를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고, 알라딘은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소비자의 니즈에 빠르게 발 맞춰 나가고 있다. 예스24는 김석환·김기호 공동 대표이사 체제, 알라딘커뮤니케이션즈는 조유식 대표이사가 이끌고 있다. 

 

예스24의 김석환 대표이사(왼쪽)와 전문경영인 김기호 대표이사(중간). 그리고 알라딘커뮤니케이션즈의 조유식 대표이사(오른쪽).  사진=각 사 제공

 

# 예스24 김기호·김석환 ​“디지털 콘텐츠 강화로 e북 시장 선도”​​​

 

1999년 3월 창사 이래 인터넷 서점 분야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예스24는 김기호·김석환 공동 대표이사 체제다. ​1960년 8월생인 ​김기호 대표는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LG화학에 입사했으며, 2005년 GS홈쇼핑으로 자리를 옮겨 EC사업·통합채널·신사업부문 전무이사를 지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GS강남방송 대표이사를 지낸 그는 2011년 8월 예스24 대표이사 사장으로 취임했으며, 현재 아이스타일24, 한세예스24홀딩스, 한국이퍼브 대표이사를 겸직하고 있다. 

 

김기호 대표는 2011년 8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한세실업 창업주인 김동녕 한세예스24홀딩스 대표이사와 함께 공동 대표이사를 지냈다. 한세예스24홀딩스는 예스24를 비롯해 의류제조업자개발생산(ODM) 기업 한세실업를 핵심 자회사로 두고 있다. 김동녕 전 대표가 2015년 6월 경영에서 물러난 건 김기호 대표이사 중심의 전문경영인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상무이사였던 김동녕 전 대표의 장남 김석환 대표가 지난해 3월 취임하면서 예스24는 2년 만에 다시 공동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됐다. 2세 오너 경영인이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유에 대해 예스24는 “신사업과 관련된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김석환 대표는 1974년 7월생으로 조지워싱턴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2007년 예스24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에서 근무했다. 김기호 대표는 도서 사업 부문을, 김석환 대표는 엔터테인먼트 및 디지털 사업 부문을 담당하게 됐다. 

 

예스24의 김석환 대표이사(왼쪽)와 김기호 대표이사(오른쪽).  사진=예스24 제공

 

김기호 대표는 국내 서점으로서는 최대 규모의 물류센터를 경기도 파주와 대구광역시에 구축하는 데 주력했다. 하루 3만~5만 건의 주문량을 소화하는 물류센터를 구축, 업계에서 가장 빠른 당일 배송이 가능하게 했다. 

 

김석환 대표는 엔터테인먼트 및 디지털 사업을 강화하는 데 주력했다. 엔터테인먼트 사업 부문에 근무하며 담당했던 영화 예매 및 e-북(book)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예스24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김석환 대표 취임한 이후 예스24의 영화 예매 점유율은 2016년 21.44%에서 2017년 22.49%로 2.05% 늘었다. 영화 예매 점유율 증가로 인해 2016년 대비 2017년 상반기 매출도 65% 증가했다. 

 

김석환 대표는 지난해 6월 출시된 전자책 단말기 ‘크레마 카르타 플러스’와 지난 4월 출시된 ‘크레마 엑스퍼트’ 출시를 주도했다. 전자책의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한 그는 기존 6~7인치 화면을 10.3인치로 늘리고, 스타일러스펜을 이용해 필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김 대표는 1년에 단행본 600~700권을 읽을 정도로 독서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활자 중독인 아버지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책 읽는 버릇이 들었다”고 밝혀 ‘책벌레’라는 별명까지 얻은 그다. ​김 대표는 “전자책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한 결과 현재는 신규 고객 유입이 증가해 누적 이용자만 15만 명에 달한다”며 “앞으로도 전자책 콘텐츠 이용 고객들의 니즈를 고려해 단말기 출시와 뷰어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민들의 독서량 감소에 대해 김 대표는 “상상력은 올바른 정보를 양분으로 섭취해야 제대로 자랄 수 있다. 인터넷 정보는 출처라든가 정확도가 책과 비교되지 않는다”면서 “미래가 인간의 상상 속에 있다면 상상력은 책을 양식으로 삼는다. 미래가 필요한 사람들은 책을 읽을 수밖에 없다”고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 알라딘 조유식 대표이사 “모바일 간편결제 도입으로 편의성 높여”​ 

 

조유식 알라딘커뮤니케이션즈 대표이사 사장은 김동녕 전 한세예스24홀딩스 대표이사의 처조카다. 김 전 대표가 예스24를 인수할 당시 조 대표가 김 대표에게 훈수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964년 3월생인 조 대표는 1994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으며,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월간 말’에서 기자로 활동 했다. 1997년 ‘월간 말’ 퇴사 후 사업 아이템을 찾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6개월 동안 생활했으며, 1998년 11월 귀국하자마자 알라딘커뮤니케이션즈를 설립했다. 알라딘이 인터넷 서점 서비스를 시작한 건 1999년 7월부터다. 

 

조 대표이사는 미국 프랜차이즈 대형 서점 반스&노블의 깔끔한 인테리어와 이메일의 보급화를 통해 인터넷 서점을 창업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다. 당시 예스24, 인터파크, 교보문고 등이 인터넷 서점 시장을 선점하고 있었지만, 독자적인 노하우만 있다면 국내 대표 인터넷 서점으로 키울 수 있을 거라 확신한 결과다. 

 

하지만 5000만 원으로 시작한 알라딘은 설립 6년 만에 대외 채무가 60억 원으로 불어날 만큼 경영 상태가 악화됐다. 개인사업가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빚이 늘어났지만, 조 대표이사는 알라딘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2008년 국내 인터넷 서점 업계 최초로 온라인 중고책 거래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알라딘은 흑자로 전환됐다. 

 

알라딘커뮤니케이션즈의 조유식 대표이사.  사진=알라딘커뮤니케이션즈 제공

 

조 대표는 2011년 9월 알라딘 중고서점 종로점을 시작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늘려나갔다. 현재 알라딘은 국내에만 42개의 중고서점을 운영 중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알라딘의 매출은 2011년 1560억 원, 2012년 1683억 원, 2013년 1977억 원, 2014년 2328억 원, 2015년 2393억 원, 2016년 2848억 원, 2017년 3236억 원으로 매년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모바일 쇼핑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조 대표는 ​간편결제 시스템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2014년 페이게이트를 시작으로 카카오페이, 페이코, K페이, 스마일페이, 엘페이 등으로 알라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과 인터넷 쇼핑몰에서 누구나 쉽게 ​​주문부터 결제까지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여나간 것이다.  

 

조 대표에게는 언제나 ‘386 운동권 출신 사업가’라는 꼬리표가 따라붙는다. 1989년 울산 현대중공업에 위장 취업한 후 노동운동을 한 핵심 운동권이었으며, 1991년 5월 강화도에서 반잠수정을 타고 북한으로 넘어갔다가 14일 만에 다시 남한으로 돌아올 정도로 한때 사회주의를 동경하던 대학생이었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 노동운동에 참가하며 사업가의 꿈을 키웠다는 그는 “1980년대 대학은 개인의 성공을 꿈꾸는 것 자체가 비도덕적이라고 터부시되는 때였다. 당연히 자기계발을 위해 노력하고 투자하는 것은 꿈꾸기가 힘들었다”며 “좀 더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상황에서 대학시절을 보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남들이 간 길을 따라가지 말고 자기만의 개성을 가지라고 (대학생들에게) 권하고 싶다”고 조언한다. ​

유시혁 기자 evernuri@bizhankook.com


[핫클릭]

· 세무조사 받는 OCI그룹, '사정'보다 계열분리 이슈가 더 큰 까닭
· 구광모 LG그룹 상속자가 쓴 '왕관의 무게'
· [CEO 라이벌 열전] '잘 팔아라' ING생명 정문국 vs 동양생명 뤄젠룽
· [CEO 라이벌 열전] '클라우드 동지' 한국MS 고순동 vs 인텔코리아 권명숙
· [CEO 라이벌 열전] '부품 독자 생존' 현대모비스 임영득 vs 만도 정몽원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