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글로벌

[유럽스타트업열전] 스위스 로봇 스타트업 '아이카'가 한국에 오는 까닭

"한국은 우리 고객군의 집적도가 가장 높은 나라" 12월 1일 주한 스위스대사관서 설명회 개최

2023.11.28(Tue) 10:10:30

[비즈한국] 한국의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은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숙명처럼 풀어야 할 과제가 있다. 바로 세계 시장 진출이다. 한국은 시장이 작고, 인구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내수 시장에 한계가 있다. 정부에서도 이를 타개하기 위해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책을 발표했다. 특히 미래 경제를 끌어갈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은 앞으로 한국 경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 나갈 것인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좋은 지표다. 

 

지난해 9월 중소벤처기업부는 경제부총리 주재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K-Startup 글로벌 진출 전략’을 발표했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글로벌 스타트업이 디지털 경제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경제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도 심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한국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4대 전략을 발표한 것이다. 이 흐름은 글로벌 시장을 바라보고 사업을 준비하는 스타트업에는 희소식이다. 

 

비단 한국 스타트업뿐일까? 유럽의 강소국 스위스의 스타트업도 고민은 비슷하다. 스위스는 인구가 870만 명가량 되는 작은 나라지만, 1인당 GDP는 늘 세계 2~3위권에 드는 부자 나라다. 금융산업과 첨단산업이 발달했지만 내수시장이 작기 때문에 그들의 눈은 늘 세계를 향한다. 

 

근처 유럽 국가는 물론 북미, 아시아가 모두 그들의 무대다. 스위스 출신의 스타트업 아이카(AICA)는 한국 진출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11월 27일부터 12월 8일까지 한국을 방문한다. 이 유럽의 스타트업은 왜 한국에 오는 것일까? 아이카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사업개발경영자(CBDO)인 파비안 안토나토스(Fabien Antonatos)를 만나 아이카와 한국의 인연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스위스 스타트업 아이카의 CBDO 파비안 안토나토스. 사진=파비안 제공

 

Q. 아이카를 소개해달라. 핵심 기술이 무엇인가.

 

아이카는 2019년 스위스 로잔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로잔 공대(EPFL)의 학습 알고리즘 및 시스템 연구소(LASA) 연구원들이 산업용 로봇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아이디어를 갖고 설립했다. 로봇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스타트업이고, 궁극적으로 로봇 프로그래밍과 제어를 단순하게 만들어서 로봇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더라도 로봇을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우리 기술의 핵심은 힘 제어(force control), 머신러닝의 일종인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및 동적 모션(dynamic motion)이다. 이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기법은 로봇에게 촉각 기능을 갖게 해서 사람 손처럼 물체를 잡을 수 있게 한다. 또 생산 라인이 변화하더라도 적응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생산라인을 발전시키고 개선하는 데 더 많은 유연성과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Q. 아이카 로봇 프로그래밍만의 강점이 무엇인가.

 

적용이 쉽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이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기존 비용의 약 40%를 절감할 수 있다. 기어박스 조립, EV 배터리 (분해) 조립, 자동 나사 조이기, 디버링(deburring, 제품을 만들고 나서 모서리나 구멍 같은 곳의 거친 부분을 깎아서 제거하는 작업) 또는 연마와 같은 복잡한 프로세스도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자동화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적용이 쉬워 프로세스 휴지 기간이 짧기 때문이다.

아이카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현장의 직원 고급 로봇 전문 지식 없이도 로봇을 작동할 수 있을 만큼 쉽다. 1시간 정도 배우면 누구나 쉽게 다룰 수 있는 수준이다. 그렇다고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올라간다. 약 98%의 성공률을 보인다. 실제 산업용 로봇의 최강자 중 하나인 쿠카(KUKA)도 우리의 솔루션을 일부 사용하는데, 처음 설치 시 하루가 걸리지 않았다. 전체 스마트 조립 공정에 적용하는 데에도 1주일이 채 걸리지 않았다. 

 

아이카의 소프트웨어를 로봇에 적용한 모습. 사진=aica.tech

 

Q. 신생기업인데, 쿠카와 이미 협업 레퍼런스가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그 밖에 또 주목할 만한 협업 사례가 있나.

 

독일 제조 기업 셰플러(Schaeffler)의 조립공정에도 아이카의 솔루션이 적용되고 있다. 셰플러와는 두 번의 개념증명(PoC) 과정을 거쳤다. 이후 직접 셰플러의 투자를 받으면서 협업 관계를 두텁게 만들 수 있었다. 현재 셰플러의 중국 기어박스 생산라인에 아이카의 솔루션이 적용되고 있다. 우리는 스위스에 기반을 두지만 독일 기업과 투자자들로부터도 좋은 반응을 얻었기 때문에 스위스와 독일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 그와 연계된 EV 배터리, 전자, 반도체 분야는 우리의 기술이 주요하게 쓰이는 영역이기 때문에 독일은 우리에게 중요한 시장이다. 

한국의 두산로보틱스(Doosan Robotics)와도 협업했다. 두산로보틱스의 M 시리즈의 일부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에 한국에서 기술 데모를 할 때 두산로보틱스와 협업해 시연할 예정이다. 

 

Q. 한국을 방문한다는 것도 한국을 주목하고 있다는 것도 매우 흥미롭다. 어떤 계기가 있었는가. 

 

스위스 대사관의 초청 덕분이다. 스위스는 작은 나라이기 때문에 항상 국내 기업의 외국 진출을 돕기 위해 대사관과 같은 공공기관이 큰 역할을 한다. 우리가 한국기업인 두산로보틱스와 협업 사례가 있어서 초청받게 되었다. 두산과의 협업 이전에는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이 없었고, 관심도 그렇게 많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에 갈 준비를 하면서 한국의 로봇 시장이 매우 흥미롭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국은 2010년부터 10년 넘게 세계에서 가장 높은 로봇 집적도를 가진 나라다. 특히 대부분의 로봇이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이어서 한국은 우리에게 직접적인 고객군의 집적도가 가장 높은 나라이기도 하다. 세계 2위인 싱가포르, 3위 일본, 4위 독일과 비교해서도 한국이 압도적으로 높다. 반도체, 전자 산업이 발달해서다. 이때부터 한국을 ‘그냥’ 가면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 한국을 더 이해하고, 더 많은 산업관계자를 만나기 위해 다양한 방향으로 준비하고 있다. 예전에는 작은 나라라고 생각했지만, 지금 한국은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나라가 되었다. 

 

아이카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한국 방문 일정 관련 내용. 사진=aica.tech


Q. 유럽 스타트업이 한국에 진출함으로써 생길 양 지역의 시너지가 무척 기대된다. 앞으로의 마일스톤이 궁금하다.

 

설립 이후 약 3~4년간은 주로  유럽 지역의  R&D 기금을 지원을 받으면서 기술을 고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다가 올해 3월에 첫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스위스 VC인 스파이스 하우스(Spicehaus)가 리드하고, 독일의 VC인 하이테크 그륀더펀드(High-Tech Gründerfonds)와 셰플러그룹이 투자에 참여해 120만 스위스 프랑(18억 원)을 투자 받았다. 이 투자금으로 우선 고객사가 있는 국가에 현지 지사를 설립해 해외 영업을 공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1차 목표다. 내년 상반기까지 브릿지 투자 유치, 2025년에 시리즈 A 투자유치를 목표로 점차 성장 시켜 나갈 것이며, 2027년에 1200만 스위스 프랑(180억 원)의 매출을 앞으로 3년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스위스 로잔공대 로고 앞에 선 아이카 팀. 사진=aica.tech

 

한국을 중요한 시장으로 보고 진출하려는 유럽 스타트업을 만난 것은 한국인으로서 매우 흥미로운 경험이었다. 특히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국이 산업용 로봇 영역에서 굉장히 집적도가 높기 때문에 좋은 시장으로서 기능한다는 사실은 앞으로 여러 글로벌 기업과 한국 시장의 케미를 예고한다.

 

아이카는 12월 1일 오전 10시~오후 12시까지 남산 소월길에 위치한 스위스 대사관에서 한국의 많은 기업과 투자자들 앞에서 자신들의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들의 이정표는 앞으로 유럽과 한국의 경제 교류 측면에서도 매우 기대하게 만든다. 작지만 강한 나라 스위스. 그 국가의 공공기관이 만들어 낸 혁신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는 우리의 정책가들에도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필자 이은서는 한국에서 법학을 전공했고, 베를린에서 연극을 공부했다. 예술의 도시이자 유럽 스타트업 허브인 베를린에 자리 잡고 도시와 함께 성장하며 한국과 독일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잇는 123factory를 이끌고 있다.​​​​​​​​​​​​​

이은서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유럽스타트업열전] 유럽 의료기기·헬스케어 스타트업이 규제의 벽을 넘는 법
· [유럽스타트업열전] 프랑스발 '빈대 소동'에 해충 퇴치 스타트업 뜬다
· [유럽스타트업열전] 베를린 '드라이버리 마켓플레이스'서 만난 한국 모빌리티 스타트업
· [유럽스타트업열전] 혁신을 위한 항구이자 보금자리, 보쉬 IoT 캠퍼스 방문기
· [유럽스타트업열전] 유럽 최대 모빌리티 전시회 'IAA 2023' 최대 화두는 중국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