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가장 보통의 투자] 의사 파업에 꿈틀대는 '비대면 진료 테마주' 경고등

케어랩스·유비케어 등 급등, 일부는 급등락…정책 가시화 전까지는 변동성 유의해야

2024.02.20(Tue) 09:50:21

[비즈한국]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대형병원 전공의들이 집단사직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공 의료기관과 군 병원을 총동원하기로 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비대면 진료도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9일 국내 증시에서는 비대면‧원격진료 관련주가 급등했다.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을 운영하는 케어랩스 주가가 상한가로 마감하며 7440원을 기록했다. 또 의료 플랫폼 ‘똑닥’ 운영사 비브로스의 지분을 가진 유비케어 주가도 5.97% 올랐다. 나노엔텍(29.90%)과 인성정보(8.06%), 토마토시스템(1.34%) 등 비대면 진료 관련주로 엮인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다. 물론, 관련주로 알려졌던 모든 종목이 급등 마감한 것은 아니다. ‘바로닥터’를 운영하는 비트컴퓨터는 장중 10% 넘게 급등했지만, 결국, 0.84% 올라 마감했다. 병의원용 전문의약품 플랫폼 블루엠텍도 장중 11% 이상 올랐지만, 3.90% 하락한 채 장을 마쳤으며, 의료정보시스템 전문기업 이지케어텍도 장중 13% 이상 급등했지만, 1.95% 상승으로 마감했다.

 

의대 정원 확대에 따른 전공의 총파업이 가시화 되면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다시 비대면 진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일시적인 현상인 만큼 투자에 주의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생성형 AI

 

원격진료 관련주는 정치권에서 ‘원격진료’ 논의가 강조될 때마다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미 대선 후보 시절부터 “대통령이 되면 원격의료를 실시하겠다”고 공약으로 밝혔다. 관련주들은 당시에도 널뛰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케어랩스는 올해 들어 70% 넘는 상승세를 보였고, 유비케어, 나노엔텍 등도 20~30% 이상 올랐다. 관련주 상승세는 정부가 비대면 진료를 법제화해 전면 허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비대면 진료’는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2월에 처음 확대 적용됐다. 감염병 위기단계가 ‘심각’으로 상향되면서 자가 격리 등으로 병원에 갈 수 없는 환자들을 위해 전화상담 또는 처방받을 수 있도록 한시적 허용한 것이다. 이후 코로나19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면서 한시적 비대면진료도 종료됐지만,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비대면 진료를 허용했다. 지난해 12월 15일 평일 오후 6시 이후나 휴일에는 모든 연령대 환자가 초진이어도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확대 보완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달 30일 열린 7차 민생 토론회에서 “비대면 진료는 중요한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화라는 측면에서 봐야 되고, 대한민국 의료서비스의 글로벌 경쟁력이라는 차원에서 봐야 된다”고 강조했다.

 

원격·비대면 진료는 결국 받아들여야 할 현실이 되고 있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 확대 정책이 시행된 지난해 12월 15일부터 이달 2일까지 플랫폼 4개사에 접수된 비대면 진료 요청 건수는 총 17만 7713건으로, 비대면 진료 확대 정책 시행 전 50일 간 접수된 2만 1293건과 비교하면 7.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과 휴일의 의료공백을 비대면 진료가 메워주고 있다는 것이다. 비대면 진료 확대 이후 이용률이 가장 크게 증가한 진료과목은 소아청소년과로, 소아청소년과 비대면 진료 이용자의 호응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자녀의 비대면 진료를 위해 플랫폼을 이용한 부모를 심층 인터뷰한 결과, 개선된 비대면 진료 제도의 편의성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뿐 아니라, 주변에도 비대면진료 사용을 적극 권유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제는 사업 지속성 여부다.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정부, 의료계와 산업계 논의가 잘 진행되지 않아 비대면 진료 문제가 총선 이후 다시 표류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유행기 중 소비자들의 비대면 진료 경험도가 높아지면서 편의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됐다”며 “이미 다수의 국가에서 원격의료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다만, 산업 초기인 만큼 의료계 반발에 따른 정책 변동 리스크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세아 금융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가장 보통의 투자] 기지개 펴는 K뷰티, 주가 전망도 맑음
· [가장 보통의 투자] '저PBR주 신드롬' 저평가 기업은 무조건 오를까
· [가장 보통의 투자] 나에게 맞는 '무제한 교통카드' 고르는 법
· [가장 보통의 투자] '개인 투자용 국채' 어떤 투자자에게 어울릴까
· [가장 보통의 투자] '비트코인 현물 ETF' 제도권 편입, 어떻게 볼 것인가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