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출 계약이 체코 현지 법원의 결정으로 연기되면서 국내 증시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 한전산업, 한전기술 등 원전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체코 브르노 지방법원은 현지시간 6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체코전력공사(CEZ) 자회사 간 최종 계약 서명을 금지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
앞서 지난해 7월 한수원은 체코 두코바니 원전 2기 건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후 경쟁자였던 EDF는 체코 경쟁당국인 반독점사무소(UOHS)에 절차에 문제가 있다며 이의를 제기했지만, UOHS는 지난달 24일 EDF 측의 이의 제기를 최종적으로 기각했다. 그러나 이에 불복한 EDF는 지난 2일 체코 브르노 지방법원에 UOHS의 처분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허민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법원이 해당 본안 소송을 심리할 동안 계약이 체결되면 구제의 실효성이 사라진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이라며 “가처분 인용에 따라 EDF의 소송에 대한 본 판결이 나올 때까지 최종 계약 서명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7일 국내 증시에서 두산에너빌리티, 한전산업, 한전기술 등 원전 관련 종목들이 일제히 내림세를 보였다. 그동안 원전주는 체코 원전 건설 사업과 관련한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등락을 거듭해온 만큼 이번 현지 법원의 판단은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줬다.
그러나 중장기적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의견이 많다. 이번 체코 원전 수출은 지난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6년 만의 대형 수출로, 사업 규모는 약 26조 원에 달한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국내 원자력 공급 산업(발전사, 연구·공공기관 제외)은 지난 2023년 기준 총 매출액 5조 원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수주가 미칠 직․간접 경제효과는 50조 원 규모 이상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올해 하반기 불가리아와 스웨덴 원전 등 국내 기업들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는 수주 모멘텀이 임박했다는 점도 원전주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 중 하나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글로벌 원전 시장이 급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인공지능(AI) 경쟁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정책 기조가 기존 탈원전에서 친원전으로 바뀌고 있고, 체코 원전과 같은 수출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다. 이와 함께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전 기술은 대형 원전 시장과 함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건설업종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현대건설은 지난 3월 대형 원전과 SMR 등 에너지 사업 중심 성장을 주요 축으로 한 중장기 경영전략을 발표했으며, 삼성물산․DL이앤씨․대우건설 등도 다른 방식으로 대형 원전과 SMR 분야에서 원전 시장 성장에 대비하고 있다. 장윤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건설 경기에 따른 기업들의 높은 이익 변동성, 산업의 낮은 성장성으로 코스피 대비 만성적인 디스카운트 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건설업종 밸류에이션에 있어서 글로벌 원전 시장 확대에서 파생될 사업 기회는 기업가치 상향 트리거”라고 말했다.
정치권 분위기도 바뀌고 있다. 원자력 관련 정책은 정치적으로 내려지는 경우가 많아 국민여론에 따라 정책이 정권에 따라 바뀌기도 했다. 그러나 과거 탈원전 정책을 고수했던 더불어민주당에서도 탈원전이 아닌, 에너지 믹스 전략으로 선회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맥쿼리증권은 지난달 16일 보고서에서 “전 세계 원자로 건설 수가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국가가 원자력 발전을 이끌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관별 전망치의 편차는 있지만, 컨센서스는 원자력 발전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보인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세아 금융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핫클릭]
·
[가장 보통의 투자] 탄핵 인용 압도하는 관세 폭탄 악재, 얼마나 지속될까
·
[가장 보통의 투자] 과연 공매도 재개가 주가 폭락을 불렀을까
·
[가장 보통의 투자] "산타는 올해 안식년" 내년 위해 '체력' 비축할 시간
·
[가장 보통의 투자] 변동성 장세에 수익성·안정성 위한 'ETF 분산투자'
·
[가장 보통의 투자] 카톡 먹통 사태로 치명타, 악재 잇단 카카오그룹 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