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노사 갈등으로 번지며 파장이 겉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회사는 유출 사실을 사과하면서도 무단 열람 및 유포자에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밝혔고, 노조는 사측 임원을 경찰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11일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노동조합에 따르면, 지난 10일 인천연수경찰서에 송 아무개 상무를 영업방해죄와 특수건조물침입죄, 부당노동행위 건으로 수사를 접수했다. 지난 6일 사내 전산망에서 노조의 공유 폴더 이관 작업 중 임직원 개인정보가 ‘전체 공개’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회사에 신고했는데, 송 상무가 오히려 노조 사무실에 침입해 업무용 PC를 수거하려 해 노조의 업무를 방해했다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박재성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노동조합 위원장은 “회사 측에서 7명이 들어왔기 때문에 조사 과정에서 고발 대상자가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노출된 정보에는 임직원의 주민등록번호는 물론, 학력과 연봉, 고과, 집 주소 등 민감한 인사정책 자료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여기에 삼성그룹 사업지원TF의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사 평가 개입 의혹과 2016년 실시한 신인사제도의 실제 목적은 ‘인건비 절감’이라는 분석 등이 담겨 있다는 게 노조 측의 지적이다. 노조 관계자는 “삼성그룹 사업지원TF에서 저성과자에 대해 과감하게 하위 고과를 매길 것을 지시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사팀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과반 노조가 돼 임금 인상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며 “삼성 신인사제도 시행 당시 ‘연차를 넘어 수평적인 조직문화로 직무 중심의 인사제도’라 발표됐지만,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 호봉제를 폐지하고 직급을 합치는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노조 집행부를 관리하는 인사관리 자료도 있었다는 게 노조 측 설명이다. 노조 관계자는 “NJ(노조) 리스트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평가 불이익을 주거나 회유 등의 시도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부당노동행위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사내 심리상담센터인 라이프코칭센터 방문자에 대한 인사 불이익 정황도 확인됐다고 했다. 노조 관계자는 “센터를 다녀온 직원 상담 기록이 ‘징계 폴더’ 안에 있었다”며 “직원 정신건강을 도와주기 위해 사내에 만든 센터가 오히려 기록을 남겨 퇴사시키려는 구조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측은 임직원 개인정보 유출을 확인한 이후 추가 피해 발생 예방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지난 10일 임직원을 대상으로 발송한 ‘임직원 개인정보 무단 열람 발생 및 이에 대한 보호조치 안내문’에서 “일부 인원이 일부 자료를 외부에 공유하면서 자의적으로 회사가 특정 인원에게 불이익을 주려 한다고 주장하지만 사실이 아니다”라며 “회사 경영 및 인사정보를 외부에 공유하는 행위가 회사 이익 및 직원들의 권리를 크게 저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 위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해 별도 검토 중이다”고 밝혔다. 이어 “회사는 법상 절차를 준수해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회사의 영업비밀 및 임직원 개인정보 보호에 힘쓰고 있다. 이번 개인정보 무단 열람 사례가 발생한 점에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덧붙였다.
최영찬 기자
chan111@bizhankook.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