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정부가 주식 투자 활성화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놨다. 여당은 최근 기업의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상법 개정안 추진에 나섰다. 더불어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을 분리해 낮은 세율로 부과하는 방안까지 추진하면서, 증시 대표 저평가주로 꼽히는 금융주가 수혜를 입을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상법 개정안을 추진한다. 개정안에 따르면 기업이 자사주를 취득하는 경우 취득일로부터 1년 내 소각해야 한다. 소각하지 않으면 기업 이사에게 5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다만 개정안 시행 전 취득한 자사주는 6개월의 유예기간을 부여한다. 법안은 일부 주주나 경영진이 권한을 악용해 주주 이익을 침해하는 것을 막아 주주의 신뢰를 높이고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것이 목표다.
여당이 상법 개정안을 연내 통과시킨다는 의지를 보이면서 금융주가 주목받는다. 금융사는 주주 환원과 기업 가치 제고 차원에서 자사주 매입·소각에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소각 기한을 1년으로 하는 법안까지 나오면서 금융주를 향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 정권에서 시행한 밸류업 프로그램에도 주가 등락을 반복하던 금융주는 ‘코스피 5000 달성’을 내건 새 정부 출범 후 상승세를 탔다가 최근 조정을 받았다. 특히 은행을 보유한 4대 금융지주(KB금융·신한지주·하나금융·우리금융)의 주가는 올해 저점 대비 두 배 가까이 오르며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KB금융의 주가는 미국 관세 부과로 주가가 세계적으로 폭락했던 4월 9일 6만 9300원까지 내려갔으나 이후 상승해 11월 13일 장중 14만 원까지 기록했다. 현재는 12만 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KB금융의 경우 2026년에는 주주환원 규모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여유 자본과 미래 이익이 증가하면서 2026년 주주환원 금액이 3조 1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내다봤다.
신한지주 주가는 4월 9일 최저 4만 2500원을 찍었던 주가는 상승세를 타고 11월 13일 8만 3900원까지 올랐다가 현재 7만 원대 후반으로 내려왔다. 하나금융은 4월 9일 장중 5만 1500원을 기록하고 정부 출범일인 현재 9만 원대를 기록했다. 우리금융은 1만 5010원까지 내려갔다가 현재 2만 원대 후반을 유지 중이다.
금융사가 매년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규모를 확대하는 것도 주가 부양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주요 금융지주 중에선 올해 결정한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가 11월 25일 기준 1조 원이 넘는 곳도 나왔다. KB금융은 2월 5200억 원, 4월 3000억 원, 7월 6600억 원씩 총 1조 48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소각을 결정했다. 2024년 3월, 11월 취득한 5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도 올해 5월 소각했다.
신한금융은 올해 자사주를 1조 3000억 원 규모(2월 5000억 원, 7월 8000억 원) 매입했다. 2월 매입한 자사주는 6월 중 취득을 완료하고 소각했다. 2024년 10월 취득 공시한 자사주 4000억 원도 올해 4월 소각했다. 하나금융은 3월 자사주 4000억 원, 7월 2000억 원어치를 매입해 소각했다. 지난 10월에도 1500억 원의 자사주를 매입했다. 5월에는 2024년 11월 매입한 1500억 원대 자사주를 소각했다. 우리금융은 2월 1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9월 소각했다.
올해 본격적으로 자사주 매입·소각에 나선 곳도 있다. 아이엠금융은 2024년 10월 “2027년까지 1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한다”라고 밝혔다. 앞서 2022~2024년에는 한 차례도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았다. 아이엠금융은 계획에 따라 지난 2월과 8월 400억 원, 200억 원대 자사주를 매입하고 소각을 결정했다. 2월에 매입한 자사주 400억 원은 7월 매입·소각을 완료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의 최고 세율을 낮추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힌 것도 금융주가 주목받는 이유다. 배당소득 분리과세란 상장사 주식에 투자해 얻은 배당소득을 종합소득에서 분리해 별도로 부과하는 제도다. 현재는 2000만 원이 넘는 금융소득은 종합소득에 합산돼 최대 45%까지 누진세율을 적용하기에 납세자 부담이 크다. 자본이 많고 영업 흐름이 안정적인 금융주는 배당수익이 높은 종목으로 꼽힌다.
정부는 주식시장 활성화와 기업 배당 촉진 등을 위해 배당소득을 분리하는 세제 개편안을 논의하고 있다. 애초 정부안은 최고 세율을 35%로 낮추는 방안이었으나, 정치권에서 25%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최근 정부도 최고세율을 완화하고 도입 시기를 2027년에서 2026년으로 당기는 방안에 동의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금융주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정욱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2026년부터 분리과세 도입으로 배당 수익률이 상승할 것”이라며 “세금에 민감한 고액자산가의 투자 요인을 크게 높이는 요인이 될 것이다”라고 짚었다.
다만 이를 ‘부자 감세’라고 비판하는 시민단체 등의 반대를 넘어서는 게 관건이다. 참여연대는 23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 정부보다 더 센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밀어붙여 얻는 것이 주식시장 단기 부양뿐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근로소득 대비 최고세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까지 도입한다면 재정 위기가 심화한다”라고 지적했다.
심지영 기자
jyshim@bizhankook.com[핫클릭]
·
[단독] 코웰패션과 합병 앞둔 로젠택배, 전산 시스템 또 '먹통'
·
'임기 일주일 남은 직무대행이…' 강원랜드 대규모 투자에 우려 나오는 까닭
·
"세율 낮은 HS코드 찾아라" 관세전쟁 소전장 된 '품목 분류'
·
주택담보대출 금리 오르더니 아예 중단…실수요자도 전전긍긍
·
[가장 보통의 투자] 가상자산 '보릿고개' 버티면 좋은날 다시 온다





















![[알쓸비법] '플랫폼 규제' 앞에서 흔들리는 공정위…법원은 왜 잇따라 제동을 거나](/images/common/side0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