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욜로 가고 생민 왔다, 그레잇' 청년 소비 트렌드 변화하나

결제 전 "스튜핏이냐 그뤠잇이냐" 문답 문화부터 '김생민적금' 완판까지

2017.09.26(Tue) 18:57:32

[비즈한국] 때아닌 ‘생민’ 열풍이다. 얼마 전까지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욜로(YOLO·You Only Live Once) 라이프’가 무색하게 “아끼고 잘 살자”는 ‘생민라이프’의 시대가 온 것이다.

 

최근 ‘생민 라이프’에 관심을 갖게 된 회사원 서 아무개 씨(30)​는 “앞서 유행한 라이프스타일들은 ‘잘 쓰는 것’에 집중했지만, 실제로 ‘잘 소비하는 것’은 일시적인 만족일 뿐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야 한다. 번 만큼 쓰는 게 아니라 번 만큼 쓰고 절약, 저축하는 것이 일반인들의 일상”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김생민 씨는 이론이나 유행이 아니라 실제로 저축하는 삶을 살아온 유명인이다. 사람들에게 ‘저렇게 살아도 괜찮구나. 나만 아끼는 게 아니구나’하는 동질감과 위로를 느끼게 해준다”고 덧붙였다.

 

KBS 2TV ‘김생민의 영수증’ 방송 화면 캡처.


‘생민 열풍’의 시작은 팟캐스트 ‘김생민의 영수증’이다. 팟캐스트 ‘송은이 김숙의 비밀보장’의 한 코너로 시작했으나 ‘통장요정’ 김생민 열풍을 일으키며 공중파 진출에 성공했다. 청취자가 영수증을 보내면 리포터 김생민과 개그우먼 송은이, 김숙이 재무상담을 하는 방식이다.

 

김생민은 청취자가 보낸 영수증에서 날짜와 출금액, 사용처, 내용을 확인하고 적절한 조언을 해준다. 기부금 내역에 대해 “기부를 하면 정신력이 좋아져 저축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고 장려하거나, 통신사 소액결제 내역을 보고 “소액결제 같은 편리함은 장기 목표달성에 방해된다”고 지적하는 식이다.

 

‘김생민의 영수증’의 인기는 청년층의 소비 변화까지 이끌어내고 있다. 온라인커뮤니티와 SNS에서는 김생민 팬임을 자처하는 ‘생민맘’이 등장했고, 프로그램에서 좋은 소비 형태에 대해 칭찬하는 표현인 “그뤠잇(great)”과 나쁜 소비 형태를 지적하는 “스튜핏(stupid)”이 유행어로 퍼지고 있다. 

 

좋은 소비 형태에 대해 칭찬하는 표현인 “그뤠잇(great)”과 나쁜 소비 형태를 지적하는 “스튜핏(stupid)”이 유행어로 퍼지고 있다. ​ 사진=온라인커뮤니티 게시글 캡처


온라인상에서는 결제 전 문답 문화도 생겨났다. 누리꾼들은 구매 전 온라인커뮤니티 게시판에 결제해도 되는지를 묻는다. 한 누리꾼이 온라인쇼핑몰에서 구매 예정인 옷을 게재하며 “그뤠잇인지 스튜핏인지 궁금하다”고 물으면 다른 누리꾼이 “스튜핏”이라고 답하며 결제를 말리거나 “그뤠잇”이라며 결제를 권한다. “오늘 ‘슈퍼 스튜핏’했다”고 자책하거나, 절약한 경험을 알리며 “그뤠잇했다. 칭찬해달라”는 글을 게재하는 누리꾼도 있다.

 

방송을 듣고 적금을 들었다는 이도 적지 않다. 김생민은 방송에서 본인이 적금을 여러 개 갖고 있다고 밝히며 “가끔 즉흥적으로 적금을 든다”고 말했다. 누리꾼들도 적금 가입 뒤 인증사진을 찍어 올리며 “김생민 씨 덕분에 태어나 처음으로 적금을 들었다”는 글을 올리고 있다. 이 같은 흐름에 발 빠르게 움직인 케이뱅크는 지난 9일 김생민의 이름을 내건 ‘김생민 코드K 자유적금’을 출시해 5일 만에 1만 5000좌 완판을 기록했다.

 

대학내일 20대연구소 이재흔 연구원은 청년층의 생민 열풍에 대해 “청년층은 경기불황과 취업난 등으로 불확실한 미래보다는 현재에 투자하는 소비양상을 보였다. 자신의 스트레스를 즉각적으로 해소하는 ‘시발비용’ 소비나, 자신에게 투자하는 ‘가치소비’ 등이 그것이다. 이를 ‘욜로형 소비’라 지칭했는데, 미디어가 소비에만 포커스를 맞추면서 피로감이 쌓인 찰나 김생민 씨가 ‘절약형 소비’를 언급했다”며 “김생민 씨는 절약과 저축을 강요하거나 소비를 비판하지 않고, 재미있고 친근하게 다가가 청년층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대의 경우 ‘시발비용’ ‘탕진잼’을 인증·공유하며 소비를 콘텐츠로 즐기기도 했으나 ‘김생민의 영수증’을 통해 자신의 소비를 돌아보는 계기를 갖게 됐다. 대학생의 경우 수입이 적어 저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상에서의 절약을 실천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 

여다정 기자 yrosadj@bizhankook.com


[핫클릭]

· 비정규직 비율 64.3% 상장사 최고, 메리츠종금증권 "자발적 선택"
· '콘텐츠 강자' 딩고 무단도용 논란, 사과도 삭제도 없었다
· '직구'도 막힌 비싼 콘택트렌즈, 한국소비자는 '호갱'?
· 삼성전자 갤럭시S8, 미국서 정말 반값일까?
· 시청역 주변에만 19개, 스타벅스 동일 상권 중복 출점 문제없나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