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문재인 정부는 외교 지평을 넓히고 시장 다변화를 위해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을 주 대상으로 한 ‘신남방정책’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는 지나치게 높은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 때 우리 경제에 타격으로 돌아왔다는 점이 반영됐다.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의 야심 찬 신남방정책이 시작부터 삐걱거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동남아 등 신흥국의 경제가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중국이 최근 북핵 문제를 주도하고 있는 한국 정부에 우호적인 신호를 보낸 뒤 다시 대 중국 수출 의존도 높아지면서 신남방정책의 동력이 더욱 약화되는 분위기다.


한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이 위기에 처하면서 아시아 신흥국, 특히 아세안 국가들의 경제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로서는 국내 고용이 갈수록 악화되고 생산·투자·수출도 흔들리는 와중에 신남방정책마저 수렁에 빠질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을 맞고 있는 셈이다”고 말했다.
이승현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CEO 라이벌 열전] '클라우드 동지' 한국MS 고순동 vs 인텔코리아 권명숙
·
[회장님들의 집2] 이재현 6억대 빌라 '회장님댁 맞나요?'
·
승리 클럽 '1억 만수르 세트' 쏜 핵심 멤버는 암호화폐 사업자?
·
남-북-미 평화무드에 '대북 금융 빅피처' 그리는 은행들
·
[단독] 이재용 이태원 집 12년째 공시가격 평가 제외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