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CEO 뉴페이스] 우여곡절 끝 선임, 김형 대우건설 사장

노조, 결사반대에서 조건부 동의로…매각 성공 등 과제 산적

2018.06.08(Fri) 18:59:18

[비즈한국] 대우건설은 8일 오후 3시 서울 광화문 본사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김형 신임 사장 내정자(62)의 사장 선임 안건을 의결했다. 김 사장은 11일 오후 2시 취임식 후 공식 업무에 들어간다. 이날 주총에서 김창환 대우건설 주택건축사업본부장이 새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임명됐다. 

 

김형 대우건설 사장. 사진=대우건설


김 사장은 선임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지난해 8월 박창민 대우건설 사장이 ‘최순실 낙하산’ 논란으로 사임하면서 산업은행 부행장 출신인 송문선 전 CFO가 대표를 맡아왔다. 당초 산업은행은 대우건설 매각 후 새 최고경영자(CEO)​를 새로 뽑을 것을 고려해, 매각 전까지 송문선 대표 체제를 유지하려 했다. 하지만 산업은행은 올 2월 초 매각이 불발되자 새로운 대우건설 CEO 선임 절차에 들어가 재매각을 시도하기로 선회했다. 

 

산업은행은 3월 28일 대우건설 사장후보추천위원회(사추위)를 구성하고 공모와 심사 절차를 거쳐 5월 18일 김 사장을 최종 후보로 확정해 대우건설 이사회에 추천했다. 같은 달 24일 이사회는 김 후보를 사장으로 내정하고 6월 8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사장 선임 안건을 상정하기로 의결했다.

 

1956년생인 김 사장은 30년 넘게 토목 분야에서 종사했다. 플랜트, 건축 부문 관련 경력이 없다. 현대건설에 입사해 전무를 끝으로 퇴직했고 2011년 삼성물산으로 자리를 옮겨 2013년 연말 인사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2015년 9월 포스코건설 글로벌인프라본부장(부사장)으로 옮겼으나 1년을 못 채운 2016년 8월 퇴사했다. 

 

대우건설 노동조합은 김 사장의 이력을 문제 삼으며 취임을 반대해 왔다. 2004년 현대건설 현장소장 시절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 공사 관련 뇌물공여 혐의로 체포된 전력도 문제 삼았다. 아울러 삼성물산 시빌(토목)본부장 시절 1조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손실을 낸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책임자라고 지목했다. 

 

또 김 사장이 삼성물산 재직 시절인 2014년 서울 지하철 9호선 부실공사로 인한 석촌동 싱크홀 사고, 2015년 베트남 항만공사 과정에서 일어난 붕괴와 인명사고 등 안전 책임론도 제기했다. 노조는 청와대에 김 사장의 선임을 반대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고 수 차례 시위를 진행하며 사측과 갈등을 빚어왔다. 노조는 단체행동을 통해 김 사장 선임을 위한 임시주총 개최를 막겠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대해 사추위와 대우건설 측은 “김 사장이 현대건설 재직 시 공직자에게 뇌물을 공여했다는 혐의로 조사를 받았지만 무혐의로 결론 났다. 삼성물산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부실과 관련해 김 내정자는 전결 책임의 위치에 있지 않았고, 서울 지하철 9호선 싱크홀 사건 때는 사업부 총괄관리책임자였을 뿐”이라며 사장 선임을 고수했다. 

 

서울 광화문 대우건설 사옥. 사진=임준선 기자


평행선을 달리던 양측은 5일 김 사장의 제의로 성사된 상견례를 계기로 어느 정도 갈등이 봉합되는 모양새다. 

 

대우건설 노조는 7일 “각종 의혹들에 대한 후보자에 해명으로 어느 정도 해소됐다. 사전에 계획했던 결의대회 및 조합원대회 개최를 통한 임시 주주총회 무산 등은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부는 후보자의 발언에 대한 사실 여부 확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추후 확인되지 못한 사건사고 및 도덕적인 결함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이 취임 이후 대우건설에 산적한 과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도 관심사다. 김 사장의 가장 큰 임무는 대우건설의 성공적 매각이다. 산업은행은 지난 2월 대우건설 매각 불발 후 2년 내 재매각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해외부실 정리와 실적향상, 구조조정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려야 한다. 조건부 동의를 표명한 노조와의 갈등 봉합에도 나서야 한다.​ 곧 취임하는 김 사장인 이 모든 과제를 어떻게 해나갈지 주목된다.

 

대한민국 경제의 기틀을 일군 기업들은 창업 1~2세대를 지나 3~4세대에 이르고 있지만 최근 일감 몰아주기 규제가 강화되면서 가족 승계는 더 이상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치·사회적으로도 카리스마 넘치는 ‘오너경영인’ 체제에 거부감이 커지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담당 업종에서 잔뼈가 굵은 ‘전문경영인’ 체제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늘고 있다. 사업에서도 인사에서도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건 전문경영인이며 그 자리는 뭇 직장인들의 꿈이다. ‘비즈한국’은 2018년 연중 기획으로 각 업종별 전문경영인 최고경영자(CEO)의 위상과 역할을 조명하며 한국 기업의 나아갈 길을 모색해본다.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


[핫클릭]

· LG상사? ZKW? 구본준 부회장 계열분리 유력 회사들 따져보니
· [CEO 라이벌 열전] 회장 후보 포스코건설 이영훈 vs 검사 출신 GS건설 임병용
· 교촌치킨 배달 유료화 한 달, 판매량 줄었다는데 본사·가맹점 반응은?
· 김형 대우건설 신임 사장 내정자 '레퍼런스 체크'
· [CEO 라이벌 열전] '인앤아웃' 대우건설 송문선 vs 대림산업 박상신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