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배경훈 과기부 장관 "AI 3대 강국은 미·중 수준 역량 갖추겠다는 것"

취임 50일 기념 간담회서 미국과 기술 격차 0.5년 수준 줄일 것…GPU 확보 20만 장까지 확대 복안

2025.09.14(Sun) 16:43:28

[비즈한국]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AI(인공지능) 3대 강국, 과학기술 5대 강국,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을 과기정통부의 3대 과제로 제시하고 이를 2030년까지 이뤄내겠다고 했다. 배 장관은 지난 12일 서울 광화문에서 취임 5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AI를 통해 2030년까지 성장 잠재력 3% 회복에 기여하겠다”며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배경훈 장관은 이날 2030년까지 미국과 기술격차를 0.5년 수준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단순히 3위를 할 것이라는 의미보다 2대 강국인 미국, 중국과 비슷한 수준이 돼야 한다. 중국과 미국이 AI 시장의 90~95%를 차지하고, 우리가 시장의 5~10%를 차지하겠다는 얘기가 아니”라며 “재작년 미국과 약 1.3년의 기술 격차가 있었지만, 2030년에는 이를 0.5년 이내로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연내 세계 10위 내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배 장관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은 글로벌 수준의 결과물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시작했다. 현재 5개 컨소시엄이 AI 학습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에 첫 결과물이 나온다. 내년에는 LMM(대형멀티모달)에 이어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이는 LAM(대형행동모델)으로 발전시켜 피지컬 AI 기반을 갖추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 장관은 “파운데이션 모델을 오픈소스화해 미국 라마나 중국 큐웬 대신 한국 AI를 선택하게 하겠다. 목표는 한국에서 어느 정도 쓸 수 있는 모두의 AI가 아니라 해외 이용자들이 쓸 수 있는 수준을 만드는 것”이라며 “최고의 AI 모델을 계속 내놓는 빅테크를 여럿 보유한 미국이 여전히 중국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제조 기반이 강한 중국이 피지컬 AI로 치고나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피지컬 AI는 한국이 들어갈 틈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9일 오후 서울 중구 르메르디앙 미드센츄리룸에서 열린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 에서 ‘K-AI’ 앰블럼 수여식 및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배 장관은 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 2030년까지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목표를 기존 5만 장에서 20만 장으로의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배 장관은 “취임 후 집중 살펴본 결과 당초 5만 장의 근거는 대기업을 제외하고 학계와 중소기업이 필요로하는 수요의 30% 수준으로 정부가 이 정도로 마중물 역할을 하면 충분히 AI 대전환을 위한 기반을 다질 수 있다고 봤다”며 “다만 AI 기술 성장이 굉장히 빠르게 이뤄지고 있어 이제 5만 장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2028년까지 5만 장 조기확보 방안도 마련했다”며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가 엔비디아 GPU에 대응하는 역량은 아직 부족하지만 추론용으로는 쓸 수 있는 NPU를 만들 수 있다. 엔비디아에만 의존하지 않고 국산 NPU를 추론용부터 도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전력 이슈까지 고민해 2030년까지 K-엔비디아를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을 두고는 “AI 기본법은 기업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것”이라며 “기업에서 걱정하는 과태료 부분은 최소 1년 이상 유예하고, 산업 성장을 막지 않는 최소 규제 원칙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달 중 입법예고를 거쳐 12월 말 시행령과 고시 제정을 완료하고 가이드라인 확정을 앞두고 있다. 

 

배 장관은 KT의 무단 소액결제 등 잇따르는 통신사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는 기업에서 사고를 접수해야 대응할 수 있게 돼 있다. 문제가 의심될 경우 정부가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법적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며 “신고 후 조치에 들어가는 체계를 바꾸기 위해 국회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AI를 악용한 해킹 기술이 발전하는 상황에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거기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는가에 대한 고민이 매우 많다. 최근 행정안전부뿐만 아니라 국가정보원과도 만나 해킹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논의했다. 류제명 2차관을 단장으로 정보 보호 대응 태스크포스(TF) 팀을 꾸려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대응을 해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초영 기자

choyoung@bizhankook.com

[핫클릭]

· 소비쿠폰 효과에 경기 반등?…건설 부진·재정적자 ‘발목’
· 동성제약 혈육 전쟁, 삼촌 이양구 전 회장 '판정승'
· 미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 제약·바이오 업계 "남 일 아니다"
· [현장] "네카오, 구시대적 지배구조가 자본시장 신뢰 위협" 성토
· 김남호 DB그룹 회장 '명예회장' 추대 두고 뒷말 나오는 까닭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