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덕후

[밀덕텔링] KF-X·장거리공대지미사일·스텔스무인기…아덱스에 뜬 '국산무기 삼총사'

3대 항공무기체계 유기적 결합 시 시너지 효과 기대…국산무기에 대한 우려도 여전

2019.10.15(Tue) 16:16:37

​[비즈한국] 10월 14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성남공항에서 개최되는 ADEX(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는 1996년부터 개최돼 2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적인 규모의 에어쇼다. ADEX가 이렇게 커진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상위권 무기 수입국, 특히 항공 무기체계 수입국이기 때문이다. 즉 ADEX는 세계 여러 나라가 거대한 한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홍보의 장이자 일종의 전초기지다.

 

특히 ADEX는 차세대 전투기(FX) 1, 2, 3차 사업과 공중조기경보 통제기(E-X) 사업 등 몇조 원짜리 국방사업과 함께 성장해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몇조 원 규모의 거대한 무기를 수입하는 대가로 얻은 기술이전과 절충 교역은 우리의 국방과학기술을 꾸준히 발전시킨 계기가 됐다. 그런 점에서 이번 ADEX에서는 큰 변곡점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여러 소식이 들려왔다. 세계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와 노력을 해온 한국의 방위산업이, 이제 군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신형 무기체계를 스스로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사람들의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것은 대한민국의 차세대 미디엄급 전투기 KF-X였다. 올해 최초로 1:1 사이즈의 실물 크기 목업(Mock-up)이 공개됐다. 조종석 내부와 이착륙용 랜딩기어 등은 재현하지 못했지만, 내년에 실제로 등장할 시제기의 크기와 형태를 짐작하는 데는 부족함이 없었다.

 

ADEX에서 사람들의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것은 대한민국의 차세대 미디엄급 전투기 KF-X였다. 올해 최초로 1:1 사이즈의 실물 크기 목업이 공개됐다. 사진=김민석 제공


KF-X의 목업과 함께 주목할 만한 전시물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실내 부스에 있는 ‘PVI(Pilot Vehicle Interface) 시뮬레이터’다. PVI 시뮬레이터는 본격적인 비행시험을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에 앞서 사용되는 장비다. 조종석의 계기판을 미리 설치해보고 조종사들이 편하게 조종을 할 수 있는지 또 동작이나 행동에 거추장스러운 부분은 없는지를 검증해 지상에서 소프트웨어를 시험하는 데 이용된다. KAI는 지난 2018년부터 이 PVI를 실제 공군 조종사들의 운용 테스트를 거쳐 조종실의 계기판과 조종간의 배치를 확정하는 데 활용했다. 

 

KF-X의 실물 크기 목업은 KF-X의 현 상황에 국민의 성원과 응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지난 칼럼에서 지적했듯, KF-X는 지금까지도 험난한 진행 과정을 개발진의 각고의 노력을 통해 극복했다. 하지만 시제기 제작 및 비행시험이라는 거대한 산을 마주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다행히도 KF-X의 미래 작전능력을 높여줄 새로운 개발계획이 이번 ADEX 2019에서 선을 보였다. LIG넥스원이 지금까지 정보가 많지 않은 국산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의 실물 크기 모형을 공개한 것. 2029년 배치 목표로 8100억 원의 개발비가 투입되는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은 수백 km​ 밖에 떨어진 적의 지휘소나 지하 표적 등 중요 전략 표적을 타격할 수 있는 공군의 핵심 타격무기다.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은 멀리 떨어진 적을 안전한 곳에서 공격한다는 의미로 영어로는 스탠드-오프(Stand-off)미사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재 우리 공군은 F-4E와 F-15K에서 세 종류의 스탠드오프 공대지 미사일을 운용하며, 그중 주력 미사일은 F-15K에서 운영하는 독일-스웨덴산 ‘KEPD-350 타우러스(Taurus)’다. 신형 공대지 미사일은 탄두 중량과 사거리가 타우러스보다 약간 작고 짧을 뿐, 정밀도와 스텔스 능력은 같거나 그 이상으로 미래에 우리 군의 전략적 타격 능력을 크게 키울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사업이다.

 

2029년 배치 목표로 8100억 원의 개발비가 투입되는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의 실물 크기 모형이 ADEX 2019에서 공개됐다. 사진=김민석 제공


특히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의 경우 그 크기를 콤팩트하게 만들어 KF-X 120대뿐만 아니라 60대의 FA-50에도 향후 탑재될 수 있게 했다. 추가 연구에 따라서는 베스트셀러 5세대 전투기인 F-35 라이트닝(Lightning II​)​의 내부 무장창에 탑재될 잠재력도 있다. 현재 F-35의 내부 무장창에는 노르웨이 콩스버그사의 JSM 미사일과 터키 로케산의 SOM-J 미사일이 스탠드오프 미사일로 장착을 준비 중인데, 이 중 터키의 경우 정치 상황이 복잡해 SOM-J 미사일이 실제로 제작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국방과학기술연구소와 LIG넥스원이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의 성공을 바탕으로 F-35 내부 무장창용 미사일 개발에 성공한다면, 국내 수요뿐 아니라 수출까지 크게 노릴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마지막으로 주목할 미래 항공 무기체계는 대한항공이 제시한 KUS-FC 스텔스 무인 정찰기이다. KUS-FC는 중국의 GJ-11 스텔스 무인공격기와 유사한 모습을 가졌는데, 전장 10m·전폭 16m 정도의 중대형 무인기로 무장을 탑재하지 않아 직접적인 공격임무를 수행하지는 못한다. 다만 KF-X는 물론 스텔스 전투기라 불리는 F-35보다 레이더에 탐지될 확률이 더 낮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먼 곳에 잘 숨겨진 적의 중요 표적을 탐지하는 데 최적의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KUS-FC는 향후 기술 발전 상황에 따라, 수입산 엔진을 사용하는 KF-X와 달리 국산 터보제트 엔진을 탑재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때문에 기체·전자장비·​엔진까지 모두 국산으로 아우르는 최초의 비행 무기체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KUS-FC는 위험한 적 영공에 침투해 정보를 수집해야 하기에 영상 데이터 링크 교란·GPS 위성항법 수신 신호 교란 및 방해·자율조종 비행 시스템에 대한 공격 등 다양한 드론 퇴치 기법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방법을 마련하는 데는 개발 기간이 좀 더 필요해 보인다.

 

KUS-FC는 향후 기술 발전 상황에 따라, 수입산 엔진을 사용하는 KF-X와 달리 국산 터보제트 엔진을 탑재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때문에 기체·전자장비·​엔진까지 모두 국산으로 아우르는 최초의 비행 무기체계가 될 가능성이 크다. 사진=김민석 제공


이렇게 2019년 ADEX에서 선보인 ‘3대 항공무기체계’는 각각의 무기 성능도 중요하지만 세 무기체계가 유기적으로 결합할 경우 시너지 효과가 더욱 기대된다. KUS-FC가 정찰 장비를 탑재하고 스텔스 정찰 임무에 나선 다음, 적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지휘부·대규모 보급 부대 등 적 깊숙한 곳의 동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한반도 상공에서 공중 초계를 하는 KF-X에게 표적 정보와 상황을 공유한다. KF-X는 지휘부 결심 하에 자체 방호 장비를 작동하고 적 지상 레이더가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로 이동해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을 발사하면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은 적 방공망을 피해 초저공 비행으로 적을 사전에 격멸하는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 있다.

 

이런 유기적 연결이 가능한 것은 국산 무기체계의 장점인 군수지원과 네트워크 능력 때문이다. 현재 한국 공군에서 가장 뛰어난 탐지능력을 가진 F-35 전투기의 경우 수백 km 밖의 전투기를 잡아낼 수 있고, 100여 km 떨어진 건물의 창문도 정확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F-35가 포착하고 조준하는 영상을 지휘부나 다른 전투기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은 어렵다. 그런데 제작과 관리가 자유로운 국산 데이터 링크를 구축하면 스텔스 무인기와 지상 지휘부 그리고 KF-X가 실시간으로 표적 영상을 공유받고 미사일에 적의 위치를 입력한 다음, 스텔스 무인 정찰기로 미사일이 잘 명중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군수지원 분야에서의 경쟁력도 있다. 현재 한국 공군은 연평도 사태 이후 긴급한 지상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공대지 미사일을 탑재하고 초계비행에 나서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수리와 유지가 복잡하고 비싼 외국산 스탠드오프 무기를 장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업체와의 협조가 원활히 되는 국산 무기라면 상시 운용해도 큰 어려움이 없어진다.

 

한편 국산 무기체계에 대한 걱정과 우려의 목소리도 여전하다. 가장 큰 우려 사항은 시험평가와 테스트가 부족하다는 것. 따라서 제작사의 홍보 스펙보다 떨어지거나 실전에서 잘 작동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다. 그러나 다행히 우리 군과 방위사업청, 방위산업체들은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과거보다 훨씬 뛰어난 시험평가 과정을 도입하고 있다. 가령 부족한 국내 시험평가 시설 대신 해외에서 발사 시험과 테스트 시험을 하고, 정밀한 공학기술을 적용해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시험사격과 시험평가 횟수를 정리하기 위한 것들이다.

 

2019 ADEX에서 보여준 국내 항공 무기체계 산업의 밝은 청사진을 실제로 보게 될 날을 기대한다. ADEX 행사장에서 차세대 3대 무기체계가 전시된 KAI, LIG넥스원, 대한항공 부스를 방문해볼 것을 권한다.​

 

※ 외부필자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김민석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밀덕텔링] '한국 방산 망해라' 일본 인기 칼럼은 현실이 될까
· [밀덕텔링] 일본의 항공모함 보유 현실화, 우리는?
· [밀덕텔링] 전장의 혁신 향해 '드론봇 전투단' 돌격 앞으로!
· [밀덕텔링] 대선주자들의 걱정스러운 국방 공약
· [밀덕텔링] J-20 FC-31 중국 최신 스텔스 전투기의 명암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