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브랜드의 발견] 0.1mm가 만들어내는 손톱깎이의 본질

60년 외길 로얄금속공업, 90년대 전성기 꺾인 후 기술개발·크라우드펀딩으로 '새 도전'

2020.01.29(Wed) 17:08:57

[비즈한국] 기업은 저마다 이야기를 가졌다. 경쟁에서 살아남을 정도로 가치가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에 결코 우여곡절이 없을 리 없다. 단순히 품질이나 가격으로 가치를 매기는 시대는 저물었다. 소비자들은 기업의 진정성에 공감하고 상품에 유대감을 느낄 때 기꺼이 지갑을 연다. 기업이 가진 진심에 소비자가 응답할 때 우리는 또 하나의 브랜드를 발견하는 기쁨을 얻는다.

 

전 세계에서 오직 세 나라, 일본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만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이 있다. 반도체나 첨단 기술 소재가 아니다. 손톱깎이다. 천 원짜리 한두 장이면 마트나 편의점에서 손쉽게 살 수 있는 흔한 손톱깎이를 만드는 일이 뭐가 그렇게 어려울까. 그런데 알고 보면 그게 그렇지 않다.

 

손톱깎이를 자세히 보면 날이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는다. 그 차이가 0.1~0.2mm로 워낙 미세하다 보니 육안으로는 쉽게 확인이 어렵다. 맞물린 부위를 손으로 만져보면 그 미세한 걸림을 느낄 수 있다. 날이 정확하게 맞물리면 쓸 때마다 날끼리 부딪혀서 쉽게 무뎌지는 데다, 손톱도 깔끔하게 잘려나가지 않는다. 그렇다고 어긋남이 크면 손톱이 깎이지 않고 접히게 된다. 그래서 완전히 맞물리지는 않지만 거의 차이가 없게 만들어야 한다. 값싸고 흔한 손톱깎이에 이렇게 정밀한 금속 가공 기술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도 손톱깎이를 만드는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그런데도 한때 전 세계 손톱깎이 시장을 석권했다. 우리는 언제부터 손톱깎이를 잘 만들게 되었을까. 경기도 부천에서 60년간 손톱깎이를 생산하고 있는 로얄금속공업의 김갑수 공장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아미나이프 스타일의 다용도 날이 장착된 손톱깎이는 한국 손톱깎이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요소다. 사진=봉성창 기자

 

“전두환이가 정권을 잡고 안정기가 됐어. 그래가지고 동남아 순방을 간 거지. 필리핀에 가서 제일 큰 백화점에 들어간 거야. 그 당시 우리가 군함도 만들고 잠수함도 만들고 괜찮았잖아. 그런데 필리핀 백화점에 한국 제품이 없어. 그래서 계속 둘러보니 손톱깎이가 보인 거야. 그런데 일제와 나란히 있는데 그 모습이 그렇게 초라했던 거지. 귀국하고 공무원들을 불러 모았지. 우리는 손톱깎이 하나 제대로 못 만드느냐고 화를 냈다 하더라고.”

 

서슬 퍼렇던 군사정권 시절이었으니 공무원들이 얼마나 일사불란하게 움직였을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공업진흥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 두 곳에 지시가 떨어졌다. 공업진흥청은 말만 잘 들으면 회사를 키워주겠다며 그저 말뿐이었지만,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손톱깎이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도면부터 열처리, 도금에 이르는 모든 공정마다 우리나라 최고 기술자를 파견해줬다. 심지어 대량 생산을 위한 자동화 설비는 국내 전문가가 없어 일본 엔지니어까지 동원됐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않은 시절 일본으로 견학까지 보낼 정도 였으니 말 다한 셈이다.

 

김갑수 로얄금속공업 공장장을 만나 우리나라 손톱깎이 제조 역사를 들었다. 사진=봉성창 기자

 

심지어 포항종합제철(현 포스코)은 오직 손톱깎이를 위해 전용 탄소강까지 생산했다. ‘15CM’으로 불리는 이 금속은 가공이 쉽도록 유연하면서도 열처리 이후에는 무르지 않고 절삭력을 오래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오직 손톱깎이 생산에만 사용된다.

 

그야말로 모든 것이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2년 만에 만족할 만한 결과물이 나왔다. 1985년의 일이다.

 

“그때 말이야, 내가 실수를 했어요. 공업진흥청에서 먼저 소식을 듣고 완성품을 달라고 해서 아무 생각 없이 건네줬는데, 그걸 청장이 대통령한테 들고 가서 한 시간인가 두 시간인가 칭찬을 크게 들었다 하더라고. 실질적인 도움을 준 건 중소기업진흥공단이었는데 말이지. 그래서 우리랑 공단이랑 사이가 멀어져버렸어. 난 아무것도 몰랐지. 나중에 좀 미안하더라니까.”

 

로얄금속공업 공장 내부. 모양을 잡은 손톱깎이는 각종 열처리 및 도금 공정을 거쳐 더욱 단단해지고 반짝거리는 윤택을 낸다. 사진=봉성창 기자

 

지금은 참외보다 사드로 더 유명한 경북 성주 출신인 김갑수 로얄금속공업 공장장은 어린 시절 자동차 공장에 취직한 아버지를 따라 서울로 상경해 처음 공장 일을 배웠다. 말이 좋아 자동차 공장이지 마치 조립PC 만들 듯. 지붕도 없는 공장에서 각종 자동차 부품을 모으고, 없는 부품은 만들어서 모조리 수작업으로 차를 생산하는 고된 일이었다. 이후에도 기술 습득에 대한 열망이 컸던 그는 여러 공장을 다니며 일을 배웠고, 이후 삼성전자에 선풍기 보호 철망을 생산·납품하는 회사를 창업했다. 한때 잘나갔던 회사는 1978년 제2차 오일쇼크로 인해 도산했다. 그 뒤 입사한 직장이 지금의 로얄금속공업이다.

 

80년대 범국가 차원에서 품질 혁신을 이뤄낸 우리나라 손톱깎이 산업은 90년대 최전성기를 맞는다. 로얄금속공업을 비롯해 대성공업사(쓰리세븐)와 벨금속공업 등이 생산한 손톱깎이는 전 세계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했다. 여기에 역설적으로 IMF라는 ‘호재’까지 겹쳤다. 수출 비중이 높았던 터라 환율이 크게 올라 가격 경쟁력은 물론 수익성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당시 로얄금속공업의 오너는 회사를 매각하길 원했다. 중국이 낮은 인건비를 무기로 무섭게 성장하던 시기였다. 오랜 기술력을 축적한 회사가 외부에 매각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던 김갑수 공장장이 인수자로 나섰다. 4·19 혁명이 일어난 1960년 설립된 로얄금속공업이 지금까지 흔들림 없이 손톱깎이 외길을 걸어올 수 있었던 결정적 장면이다.

 

사실 매각 결정은 꽤 영리한 판단이었다. 실제로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기술자에 의해 생산 노하우를 익힌 중국 기업의 저렴한 제품이 전 세계에 쏟아졌고 한국산 손톱깎이의 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여전히 품질은 최고로 인정받았지만 저가 공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럼에도 김 공장장은 기술 개발을 멈추지 않았다. 2005년부터 최고의 손톱깎이를 만들어보자는 심정으로 연구 개발을 이어갔고, 무려 11년이 흐른 2016년에야 만족할 만한 결과물이 나왔다. 여기에 ‘혼(HO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로얄금속공업이 만든 혼(HON) 손톱깎이. 사진=봉성창 기자

 

손톱깎이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서 적은 힘으로 딱딱한 손톱을 손쉽게 자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용기구다. 우리는 손톱깎이 이외에 다른 도구로 손톱을 자른다는 게 쉽게 상상이 되지 않지만, 해외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가위와 같은 도구로 손톱을 다듬는다. 그만큼 손톱깎이는 그 자체로 대단히 편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동안 이렇다 할 변화가 없었다. 크기와 날의 벌어짐에 따라 발톱용과 손톱용으로 구분한다거나, 플라스틱 케이스를 씌워 잘린 손톱이 밖으로 튀지 않도록 막아준다거나 하는 정도다.

 

로얄정밀금속의 ‘혼’은 지렛대를 누르는 느낌부터 확연하게 다르다. 깊고 부드럽게 눌려 손가락에 힘을 거의 주지 않아도 날이 끝까지 맞물린다. 그럼에도 절삭력이 좋아 손톱이 깨끗하게 잘려나갈 뿐만 아니라 맞물림 부위에 마찰력이 있는 실리콘 부속을 넣어 손톱이 튀는 것을 최소화한다. 소재도 15CM이 아닌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됐다. 위아래 날의 단차 역시 0.05~0.08mm로 더욱 정교하다. 그만큼 손톱이 부드럽고 깔끔하게 잘려나간다.

 

코털정리기는 바깥쪽 날과 안쪽 날이 서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틈 사이에 놓인 코털을 부드럽게 깎아준다. 사진=봉성창 기자

 

코털정리기도 함께 선보였다. 나이 들면서 서러운 일이 한두 가지는 아니지만, 젊은 시절에는 신경도 쓰지 않던 코털이 코 밖으로 삐져나오는 것도 그 중 하나다. 호르몬 작용으로 체모가 좀 더 길게 자라기 때문이다. 가위로 자르거나 손으로 뽑을 수도 있다. 하지만 ‘탄’은 콧 속에 넣고 돌리는 방식으로 통증없이 위생적으로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독일 유명 기업과 협력을 통해 2000년 초부터 코털정리기를 위탁 생산해온 노하우가 그대로 담겼다. 그 모양이 총알을 닮아 ‘탄(TAN)’이라고 이름 지었다. 의외로 감각적인 네이밍 센스에 또 한 번 놀랐다.

 

로얄금속공업의 브랜딩을 챙기고 있는 사람은 김 공장장의 두 자녀 김정민 팀장과 김은이 과장이다. 인수 이후 로얄정밀금속은 여느 중소기업과 마찬가지로 가족경영을 하고 있다. 잘나가는 선박 회사에서 근무하던 김 팀장은 수년 전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가업에 합류했다.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누나 김과장 역시 합류해 실무를 맡고 있다. 그저 ‘금수저’ 스토리로 치부하기에는 업무도 부담감도 결코 만만치 않다.

 

혼 손톱깎이 속을 잘 들여다보면 로얄정밀금속의 슬로건을 발견할 수 있다. “금속에 생명의 기운을 불어넣다(BREATHE LIFE INTO METAL)”. 사진=봉성창 기자

 

이들의 젊은 사업 감각은 로얄금속공업을 드라마틱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우선 전문가의 컨설팅과 협업을 통해 기업 로고부터 네이밍, 포장, 슬로건 등을 리뉴얼했다. 손톱깎이 ‘혼’과 코털정리기 ‘탄’은 2019년 말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에서 목표를 6848% 초과 달성하며 성공적으로 세상에 소개됐다. 여전히 수출 비중이 절대적인 회사에서 이러한 시도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김정민 팀장에게 물었다.

 

2018년 로얄금속공업 공장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창고에 있는 재고 및 자재와 일부 설비가 전소되는 아픔을 겪었다. 김 공장장이 공장 설비를 직접 둘러보고 있다. 사진=봉성창 기자

 

“우리가 손톱깎이를 사거나 쓸 때 이 제품이 어디서 만들어진 제품인지 딱히 신경 쓰지 않잖아요. 이걸 좀 바꿔보고 싶습니다. 더 좋은 제품을 만들고 효과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알려서 로얄 제품을 쓰고 있다고 자각하게 만드는 것. 그게 저희의 1차 목표입니다. 그렇게 우리나라에서 먼저 인지도를 탄탄하게 쌓고 나면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겁니다. 해외 바이어들도 그런 걸 중요하게 여기니까요. 로얄이 올해로 60년이 됐는데요. 이게 가능하다면 앞으로 100년 기업도 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봉성창 기자 bong@bizhankook.com


[핫클릭]

· '남매전쟁' 한진가, 경영권 주총 앞두고 카카오가 주목받는 이유
· [가토 드 뮤지끄] 채널 1969에서 대한음반연구소와 함께 춤을
· [아빠랑] '직지'부터 백제 고분까지, 청주에서 박물관 여행
· [미국음악일기] '영상은 음악 부속물이 아니다' 새 시대 알앤비 스타 우미
· [응급실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관한 28가지 단상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