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이슈

'국정농단 유탄' 맞은 평창 동계올림픽, 속이 타들어간다

티켓 판매 목표의 25%에 그쳐…알펜시아와 스키장들 보상 요구도 난항

2017.09.21(Thu) 17:27:32

[비즈한국] 평창 동계올림픽이 14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최근 본격적인 홍보가 시작됐다. 세계의 시선이 집중되는 ‘대형 축제’지만, 관심이 좀처럼 모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예산과 시설 사용 문제 등 내·​외부적으로 각종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상처뿐인 축제’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이 7월 24일 오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열린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성공 다짐대회에 참석해 홍보대사인 김연아로부터 대형 홍보대사 명함을 받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패럴림픽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유엔총회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9월 20일 오후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열린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행사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열리는 첫 대규모 세계 대회인 만큼 북핵 외교 다음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에 많은 시간을 쏟고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대형 축제다. 한국은 이번 동계올림픽 개최로 하계올림픽·월드컵·세계육상선수권을 포함해 4대 국제 스포츠 대회를 모두 개최하는 ‘국제 스포츠 대회 그랜드슬램’의 위업을 세계에서 6번째 국가로 달성하게 됐다. 

 

평창은 세 번의 도전 끝에 2011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제123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전체 95표 가운데 63표를 득표하며 개최지로 선정됐다. 독일 뮌헨(25표)과 프랑스 안시(7표)를 누르며 역대 동계올림픽 유치 경쟁에서 가장 많은 표차로 승리한 기록도 세웠다. 

 

2011년 국내의 올림픽 유치 여론은 92%에 달했다. 그러나 개막 4개월여를 앞둔 지금 그런 분위기는 찾아볼 수 없다. 대통령이 앞장서고 정부, 지자체, 유명 연예인과 스포츠 스타들이 나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하나 된 열정’이라는 이번 올림픽 슬로건이 무색할 정도로 차가운 분위기다.    

 

분위기는 입장권 판매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9월 20일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로부터 제출받은 ‘개폐회식 및 각 종목별 티켓 판매 현황’에 따르면, 현재까지 동계올림픽 종목별 입장권 총 판매량이 약 27만 매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판매된 27만 매는 입장권 판매가 시작된 9월 5일부터 12일까지의 일주일간 목표량 107만 매 가운데 25%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17만 매는 해외에서 판매됐다. 국내 판매량은 10만 매도 되지 않는다. 

 

패럴림픽은 더 참담하다. 개·폐회식 포함 판매량은 단 361매다. 목표치 22만 매의 0.1%다. 2010년 밴쿠버 동계패럴림픽의 21만, 2014년 소치의 20만 표와 비교했을 때 판매 부진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 관계자는 ‘비즈한국’과의 통화에서 “경기가 좋지 않기도 하고 홍보 효과가 적었다. 비싼 티켓 가격도 부담스러운 것 같다”고 분석했다. 개회식 입장권의 가격은 22만~150만 원이다.

 

동계올림픽 분위기에 결정적으로 찬물을 끼얹은 것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였다. 올림픽 관련 이권 사업에 최 씨와 지인들이 개입한 정황과 각종 의혹들이 불거지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조직위의 다른 관계자는 “보통 올림픽 같은 대형 이벤트는 1년 전에 분위기를 끌어올린다. 이벤트와 홍보를 통해 관심과 기대를 높이는 작업이다. 겨울 축제인 만큼 1년 전 겨울에 관심을 끌어올렸어야 했지만 그럴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국정농단 게이트는 분위기만 가라앉히는 데 그치지 않았다. 조직위는 예산 문제로 최근까지 진통을 겪고있다.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는 올림픽 개최를 6개월여 앞둔 지난 8월까지 평창 동계올림픽 운영비로 책정된 2조 8000억 원 가운데 3000억 원을 확보하지 못했다. 

 

예산 부족의 가장 큰 부문은 기업 스폰서·기부 후원금이었다. 국정농단 사태로 스포츠사업에 대한 기업 후원이 부정적으로 비치면서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던 것이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이 직접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을 찾아다녔지만 부족분은 채우지 못했다.  

 

조직위 관계자들에 따르면 결국 문 대통령이 직접 한국전력 등 공기업에 올림픽 후원을 독려한 이후 9월 현재 부족분을 채워 겨우 숨통은 트인 상황이다. 하지만 올림픽에 직·간접적으로 후원하는 공기업 18곳 중 12곳이 전년대비 매출이나 영업이익이 감소했거나 적자 전환했다. 공기업의 ‘울며 겨자 먹기’ 논란이 아직도 진행 중인 이유다. 

 

후원 공기업들은 공식적으로 “국가적인 행사인 만큼 후원에 적극 참여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내부에선 볼멘소리도 나온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최근에는 입장권도 공기업과 공무원에 할당되는 게 아니냐는 얘기도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고 귀띔했다.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현장에서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베뉴(시설 사용) 협약 문제가 대표적이다. 경기장은 물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사무실 설치 등 시설물 사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조직위 측은 알펜시아리조트를 관리하는 강원도개발공사가 공공기관에 해당하기 때문에 무상사용을 요청했고, 강원도개발공사는 법률상 공공기관이 아니라며 영업 중단에 의한 손실 보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으며, 경기장으로 사용되는 스키장들 역시 손실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에 따르면 조직위와 강원도, 관련 기관들이 협의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입장 차이는 여전하다. 여기에 조직위는 주변 숙박시설 및 기타 업주들과의 협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의 조직위 관계자는 “국정농단 사태 때문만은 아니더라도 올림픽 마케팅이 예전 같지 않아 기업들이 적극적인 후원에 나서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라며 “최근엔 세계의 이목이 북핵 문제에 쏠리는 등 여러 가지 상황이 있지만, 이 상황들을 감안하더라도 이렇게 전방위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준비하는 대회는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없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최근 정부, 지자체,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상황은 나아지고 있다. 성공적 개최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상현 기자 moon@bizhankook.com


[핫클릭]

· 시청역 주변에만 19개, 스타벅스 동일 상권 중복 출점 문제없나
· 공정위와 갈등 빚은 이해진, 네이버 지분 매각에 숨은 속내는?
· 박웅현과 TBWA가 젊음을 응원하는 색다른 방식 '망치'
· '옥상옥'에 '실효성' 논란…막강 공수처 둘러싼 법조계 시선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