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씨 마른 개발자 속타는 스타트업, 구인 비법 어디 없소?

고연봉에 스톡옵션 영입 진풍경…스타트업 위한 개발자 교육·연결 스타트업도 등장

2018.07.13(Fri) 18:35:01

[비즈한국] “개발자 구하기가 너무 어려웠는데 얼마 전에 겨우 중국인 개발자를 모셔 왔어요.” 지난해 8월 스타트업 ‘라스트오더’를 창업한 ​오경석 대표의 말이​다. 라스트오더는 음식점이 내놓은 마감 할인 상품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운영한다. 오 대표는 플랫폼 개발·관리를 외주로 돌려 버텼지만 웹 기반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앱)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내부 개발자가 필요했다. 1년 가까이 개발자 구직이 여의치 않자 앱 오픈을 미루기도 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신설법인은 9만 8330개. 자본금 5000만 원 이하인 법인이 전체 75.5%를 차지한다. 스타트업 열풍을 타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소규모·소자본 기업이 늘고 있지만 ‘개발자 품귀 현상’으로 인해 사업을 제대로 론칭해 보지도 못하고 사라지는 일이 적잖다. 

 

창업 열풍을 타고 날이 갈수록 스타트업은 늘면서 개발자 품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래픽=이세윤 PD

 

오 대표는 “인력이 적다 보니 역량이 있는 개발자가 필요하지만 시니어(5~6년차)만 돼도 연봉이 너무 높아서 작은 스타트업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개발자 몸값은 부르는 게 값”이라며 “개발자와 만날 수만 있으면 어떻게든 설득을 해보겠는데 만날 기회도 너무 적다”고 토로했다. 

 

콩팥병 환자 맞춤식을 판매하는 김현지 맛있저염 공동대표도 마찬가지다. 김 대표는 “스타트업은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이디어를 현실화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개발자를 찾아낼 채널이 너무 부족하다”며 “지인을 통해 실력 있는 개발자를 찾아 막상 채용해도 정작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 병역특례 제도가 확대된다면 기업에 맞는 개발자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플랫폼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스타트업일수록 ‘개발자 품귀 현상’이 심각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스타트업도 상황은 비슷하다. 일본 시장을 공략하는 모바일 게임 개발사 관계자는 “개발자 귀한 건 어디든 마찬가지다. 특히 서버 관리 개발자가 부족하다”며 “시니어 개발자는 최소 연봉 5000만 원은 줘야 한다. 물론 큰 기업에 싫증이 난 개발자가 꿈을 좇아 스타트업으로 넘어오긴 하지만 흔하진 않다”고 답했다.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이 개발자에게 줄 수 있는 연봉은 3000만 원대 중반 수준. 5~6년차 개발자는 최소 5000만 원은 줘야 한다.​​

 

네이버, 다음카카오, 쿠팡,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 등 IT 기반 대형 기업들은 개발자에게 업계 최고 대우를 해주며 상시모집을 한다. 대형 기업이 개발자를 쓸어가다시피 하다 보니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은 ‘뜻이 맞는 사람’을 만나는 ‘우연’을 바라면서 외주 개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최근 한 스타트업에 입사한 3년차 개발자 서은정 씨(여·31)는 ‘뜻이 맞은’ 경우다. 서 씨는 “큰 기업에서 좋은 처우를 받는 것도 고민했지만 몸소 느낄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서 스타트업을 선택했다”며 “큰 기업에서 일하는 것보다 틀에 얽매이지 않고 일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제 막 시작한 스타트업이 개발자에게 줄 수 있는 연봉은 3000만 원대 중반 수준. 서 씨와 같은 경력 개발자를 찾기 어려워 많은 스타트업이 주니어(1~2년차) 개발자 확보에 나서지만 그것마저도 여의치 않다. 지난 1월 한 IT업체에 입사한 개발자 이수빈 씨(여·24)는 “주니어 때 스타트업에 들어가는 건 큰 용기가 필요한 것 같다. 주니어 개발자는 잘 꾸려진 팀에 들어가서 실력을 쌓고 싶어 하기 때문”이라며 “경력이 쌓이고 나면 연봉이 안 맞아서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내부 개발자 확보는 투자 유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패스트인베스트먼트는 엔젤·시드 투자를 거쳐 성공 가능성이 보이는 스타트업에 1억~7억 원을 투자하는 시리즈 A 투자사다. 박혁진 패스트인베스트먼트 심사역은 “개발자 품귀 현상은 스타트업계 페인 포인트(Pain Point)다. 초기 단계에서는 외주를 돌리는 형태로 운영돼도 큰 문제가 없지만 규모가 커질수록 내부 개발자가 없으면 투자에 영향을 미친다”며 “CS(고객 불편사항)를 바로바로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첨단기술을 다루는 스타트업이라면 반드시 개발자를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내부 개발자 확보는 투자 선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개발자가 없으면 고객불만을 바로바로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개발자 품귀 현상이 계속되면서 답답함을 겪는 스타트업은 스톡옵션을 주고 개발자를 데려오기도 한다. 한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매니저는 “개발자가 너무 귀하다 보니 당장 월급을 많이 못 주지만 스톡옵션을 주는 조건으로 데려오는 경우가 많다. 이 문제를 겪다가 창업을 한 사람이 개발자로 전향하는 경우도 봤다”고 전했다. 

 

개발자를 양성·교육하고 스타트업에 공급하는 틈새시장이 생겨나는 추세다. 2013년부터 온·오프라인 개발자 교육을 하는 패스트캠퍼스는 최근 점점 규모가 커지는 중이다. 2013년 350여 개 개설된 교육과정이 2017년 800여 개에 달했다. 

 

박소연 패스트트랙아시아 커뮤니케이션 팀장은 “패스트캠퍼스에서 한 달 2000여 명이 수업을 듣는다. 현직 개발자가 데이터 사이언스,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을 배워 스타트업으로 가는 경우가 70% 정도”라며 “첨단기술 기반이 아닌 스타트업으로는 아직 잘 가진 않지만 조금씩 생겨나는 중”이라고 전했다.

 

그렙은 ‘개발자 구인난’에 허덕이는 스타트업을 위해 만들어진 스타트업이다. 개발자를 교육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특정 스타트업과 연결해준다. 카카오 최고기술책임자 출신인 이확영 대표와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장인 임성수 교수가 공동 설립했다. 

 

임 교수는 “그렙은 교육생의 실제 활동을 이력서 형태로 만들어 스타트업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타트업이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가진 인재를 데려갈 수 있기 때문에 만족한다”며 “‘꿈이 있는 개발자’ 육성을 위해선 서류와 적성검사로 이뤄진 기존 대기업 채용구조를 바꿀 필요가 있다. 최근엔 개발자들도 인식이 변하고 있어 스타트업으로 가려는 성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5월 23일 오후 서울 역삼동 디캠프에서 열린 ‘나와라 중기부! 시즌1, 스타트업에게 듣는다’ 행사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개발자 품귀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지만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것엔 부정적인 견해가 주를 이뤘다. 학생에게 후불제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윤석 학생독립만세 대표는 “정부가 직접 개발자 양성하기보다 ‘취업성공패키지’ 같은 민간의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을 더 내실화하고 지원 확대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며 “획일적인 개발자 육성은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큰 효율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현광 기자 mua123@bizhankook.com


[핫클릭]

· [단독] 배우 이서진, 4년간 울산지역 건설업체 임원 등재
· 금감원 종합검사 전면 부활, '전쟁' 대상은 어디?
· [이해림 뉴욕 한식다반사] 맨해튼에 일렁이는 '제3의 한식 물결'
· KDB생명 영구채 금리 7.5% '산업은행의 무리수' 논란
· "전기료 아깝다"며 지하철역 에스컬레이터 중단한 상가들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