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김대영의 밀덕] 남북군사합의서에 희비 엇갈리는 군 무인기 업체들

대대급·사단급 무인기 비행금지구역 직접 영향…차기 군단급 무인기 중요성 높아져

2018.10.22(Mon) 10:20:32

[비즈한국] 지난 9월 19일 평양에서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과 노광철 인민무력상이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문에 서명했다. 남과 북은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군사적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 중 하나로 남과 북은 오는 11월 1일부터 군사분계선 상공에서 기종별로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기로 했다.

 

비행금지구역 설정으로 육군의 무인기 사업은 큰 영향을 받게 됐다. 육군은 ‘국방개혁 2.0’에 따라 병력감축 및 대대적인 부대개편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병력감축으로 인한 공백을 무인기로 대신한다는 계획을 오래전부터 세워놓았다. 이러한 계획하에 대대급, 그리고 사단급 무인기를 야전부대에 배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남북군사합의서에 따른 비행금지구역 설정으로 육군의 무인기 사업은 큰 영향을 받게 됐다. 사진=방위사업청


유콘시스템이 생산하는 대대급 무인기는 길이 1.4m, 날개너비 1.8m, 이륙중량 3.6kg, 최대속도는 시속 80km로 알려져 있다. 사단급 무인기는 대한항공이 제작한다. 이 무인기는 폭 4.2m, 길이 3.4m 크기로 10km 밖의 물체를 정밀하게 확인하고 표적을 자동 추적하는 성능을 갖췄다. 또 2대가 동시 비행이 가능해 24시간 연속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비행금지구역 설정으로 일반전초, 즉 GOP를 담당하는 최전방 사단의 대대급 무인기는 당장 영향을 받게 됐다. 남북은 군사분계선으로부터 서부 10km, 동부 15km 무인기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해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로 인해 배치된 대대급 무인기들은 사실상 사용이 힘들어졌다. 사단급 무인기는 아직 최전방 사단에 배치되지는 않았지만, 계획대로라면 2025년에 최전방 사단에 배치될 예정이다. 방산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아직은 계획에 변동이 없지만, 향후 비행금지구역설정 영향으로 인해 도입수량에 영향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콘시스템이 생산하는 대대급 무인기는 길이 1.4m, 날개너비 1.8m, 이륙중량 3.6kg, 최대속도는 시속 80km로 알려져 있다. 사진=김대영 제공


대대급과 사단급 무인기들은 잦은 추락사고로 인해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대대급 무인기는 추락사고 건수만 2015년 8건, 2016년 12건, 2017년 13건으로 늘어났다. 올해 8월까지만 10대가 추락했다. 지난 8월에는 대한항공에서 양산 중인 사단급 무인항공기도 추락했다. 

 

‘3D 임무’, 즉 더럽고 어렵고 위험한 임무를 사람 대신 수행하는 무인기의 특성상 어찌 보면 추락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군의 무인기도 유인기보다 더 많이 추락한다. 하지만 대대급이나 사단급 무인기는 일단 작은 사이즈로 인해, 비행금지구역 설정으로 인해 변화된 전장환경에 대응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상황이다. 과거와 달리 더 무거운 정찰장비를 싣고 멀리 적진을 봐야 하기 때문이다. 

 

차기 군단급 무인기는 ‘한국형 프레데터’로 불리며 2020년 전력화를 목표로 현재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사진=김대영 제공


이 때문에 현재 개발 중인 중대형 무인기인 차기 군단급 무인기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운용 중인 군단급 무인기를 대체하는 차기 군단급 무인기는 ‘한국형 프레데터’로 불리며 2020년 전력화를 목표로 현재 한창 개발이 진행 중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양산하게 될 차기 군단급 무인기는 군 구조개편에 따라 확대되는 군단 작전지역의 감시 및 정찰 임무를 수행할 무인기로, 현재 운용 중인 군단급 무인기와 비교해 작전반경과 비행시간이 두 배 이상 향상된다. 감시정찰능력과 표적 위치추적 기능도 강화될 전망이다. 군은 차기 군단급 무인기의 파생형으로 공격기, 전자전기, 통신중계기 등도 검토하고 있다. 

김대영 군사평론가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국세수입 사상 첫 '300조 돌파 페이스'의 아이러니
· '공룡 포비아' 한 방에 이해하는 카카오-택시 정면충돌
· '단말기 완전 자급제'는 정말 통신비 부담을 낮출 수 있을까
· [김대영의 밀덕] 차질 우려되는 해군 해상작전헬기 2차 사업
· [밀덕텔링] 육군의 위대한 도전 '드론봇 전투단'의 성공조건 셋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