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알쓸인잡] 인간관계④ 신입사원에게 필요한 슈퍼파워 '눈치력'

빠르게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타인을 헤아리는 능력…너무 없거나 너무 과해도 문제

2023.09.14(Thu) 09:53:22

[비즈한국] “​그 정도는 눈치껏 적당히, 알잘딱깔센*(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있게) 알죠?”​

 

옆 팀에 배치받은 신입사원 A는 소심하고 조심스러워 눈치를 많이 보는 (달리 말하면 신중하고 꼼꼼한) 성격이라 아주 사소한 것 하나까지 모든 걸 물어보며 일한다. 덕분에 옆자리 C 대리는 하루에도 수십번씩 부르는 선배님 소리에 집에서도 환청이 들릴 지경이란다.

 

“혼자 무작정 앞서가면 안되요. 눈치껏 물어봐 가면서 같이 해야죠.”​

 

우리 팀 신입사원 B는 자존감도 높고 아는 것도 많은 데다 눈치는 전혀 보지 않는 (달리 말하면 아주 대범하고 자신감 넘치는) 성격이라 혼자서도 일을 척척 진행하는 바람에 사수인 A 대리와 매일 신경전이다.

 

각 구성원 간 유기적으로 업무가 이뤄지는 직장이라는 공간은 필연적으로 서로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사진=생성형 AI

 

미국 유학 시절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이라는 수업을 들은 적이 있다. 직역하자면 다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정도 되는 내용이었는데 소규모 토론수업이었고, 아시아계 학생이 혼자뿐이어서 수업 시간 내내 질문 공세에 시달렸던 아픈 기억이 있다. 당시 교과서에 한국의 ‘눈치(Noonchi)문화’​에 대한 텍스트가 있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었다.

 

교과서 내용을 요약하고 한글로 써서 보여주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예시 몇 개 알려주는 정도로 발표는 그럭저럭 마쳤는데 교수나 학생들 모두 꽤 흥미로워했던 기억이 남아있다. 눈치란 건 한국인만의 슈퍼파워냐, 그건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냐 후천적으로 배우는 것이냐 하면서 말이다. ‘​눈치’​라는 것이 순간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말의 속뜻, 혹은 공간이나 상황의 분위기를 읽고 헤아리는 능력이다 보니, 그야말로 ‘​초능력’​에 가까운 것처럼 느껴졌던 모양이다.

 

그런데 그런 초능력을 이제 입사한 지 몇 개월 되지도 않은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것 자체가 사실 말이 안 된다. 그리고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할 만한 말이 아니기도 하다. 일단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채널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눈치는 끊임없는 관찰과 경험을 통해 연차가 쌓이면 자연스레 학습할 수 있다.

 

B와 같이 눈치가 없는, 혹은 눈치를 전혀 안 보는 사람들은 주파수가 항상 자기 자신에게만 맞춰져 있다. 이들은 눈치를 전혀 볼 필요가 없는 환경에서 온실 속 화초처럼 곱게 자란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를 주위 사람들에게 적절히 돌리는 법을 배워야 한다. 사실만 말하는, 직선적이고 군더더기 없는 화법은 때로는 다른 사람뿐 아니라 자신에게도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싫든 좋든 상대에 대한 최소한의 공감과 배려를 배워야 직장이라는 정글에서 인간관계를 맺으면서 살아남을 수 있다.

 

A와 같이 주변의 눈치를 많이 살핀다고 해서 눈치가 좋거나 상황판단이 빠른 사람이 되는 것도 아니다. 눈치가 좋다고 항상 좋은 대인관계를 맺는 것이 아닌 것처럼 말이다. 눈치가 빠르고 좋은 사람은 눈치가 없는 사람과는 반대로 모든 주파수가 ‘내’​가 아닌 ‘​남’​에게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다. 상대의 감정과 의도를 기민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거기에 에너지를 쏟느라 정작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깊이 고민하고 들여다보는 것은 놓치기 쉽다. 때문에 상대방의 말이나 감정, 상황에 휘둘리고 상처받기 쉽다. 결국 다른 사람의 잣대로 자기를 평가하고, 상대의 기분을 지레짐작하거나 별 뜻 없는 말에 의미를 부여하고 과대해석 하기 때문에 스스로 너무 힘들어한다.

 

사실 A와 B는 각각 3~4년 전 신입사원 시절의 C와 A 대리를 많이 닮아있다. 그들도 사회초년생으로 눈치가 너무 없거나 혹은 너무 과하게 눈치를 보면서 조직에 적응하려고 고군분투하던 때가 있었다. 꼭 의도를 갖고 사수-부사수로 매칭한 것은 아니지만 잘 아는만큼 더 잘 도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는 내심 해본다. 가끔은 ‘아, 이거 내 얘기인가?’​ 하는 자아성찰도 하면서 말이다.

 

그래서 오늘도 나는 파티션 너머 들려오는 소리를 눈치껏 못들은 척 침묵한다. 가끔은 적당히 눈치 없는 척하는 고도의 전략을 구사하는 것도 눈치가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김진 HR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알쓸인잡] 인간관계③ 직장 동료와 지켜야 할 적정 거리는 '1m'
· [알쓸인잡] 인간관계② 직장 내 주먹다짐 사건, 진짜 원인은 따로 있었다
· [알쓸인잡] 인간관계① 퇴사하면 '완벽한 타인' 어떻게 남길 것인가
· [알쓸인잡] 휴가③ 갈수록 퇴행하는 '생리휴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
· [알쓸인잡] 휴가② 연차 신청 시기는 어떻게 조율하면 좋을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