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배민·땡겨요 웃고, 쿠팡이츠 울고…소비쿠폰에 배달앱 희비 엇갈려

현장결제 가능한 배민·땡겨요, 7월 사용자 급증…앱 결제만 가능한 쿠팡이츠는 수혜서 제외

2025.08.10(Sun) 19:57:19

[비즈한국]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을 시행한 뒤 배달앱 업계는 현장결제 지원 여부에 따라 명암이 갈리고 있다. 배민과 땡겨요 등은 현장결제 기능을 통해 이용자 증가 효과를 톡톡히 누린 반면, 앱 내 선결제만 가능한 쿠팡이츠는 소비쿠폰 수혜에서 제외됐다.

 

서울 시내 한 매장에 민생회복지원금 사용 가능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박정훈 기자

 

정부가 7월 21일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시작했다. 9월 12일까지 신청 가능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현재 전체 대상자의 95%가량에 지급됐다. 행안부는 8일 기준 전체 대상자의 95.2%인 4818만 명이 신청을 완료해 8조 7232억 원이 지급됐다고 밝혔다.

 

한순기 행정안전부 재정경제실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달 21일 신청을 시작한 지 11일 만에 신청률 90%를 달성했다”며 “코로나 시기 재난지원금과 비교해도 가장 빠른 지급 속도”라고 밝혔다.

 

소비쿠폰 사용 효과는 외식업종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분위기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최근 전국 만 20~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소비 쿠폰 정책에 대한 국민 체감 조사’를 진행한 결과,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로 식당, 카페 등 외식 업종(66.7%)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쿠폰 지급으로 배달 주문도 늘어나는 분위기다. 자영업자가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소비쿠폰으로 인해 배달 주문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후기가 잇따르고 있다.

 

배달의민족은 소비쿠폰 지급 기간에 맞춰 쿠폰 사용이 가능한 ‘만나서 결제’를 메인 화면에 배치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고객들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배달 주문 시에도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도록 앱 기능을 강화했다”며 “소비쿠폰을 통한 소비진작 효과가 배민 입점 업주들의 매출 확대로도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소비쿠폰 발급이 시작된 직후 1주일간 배민의 ‘만나서 결제’ 주문 비중은 전주 대비 3배가량 늘었다. 지난달 배민의 월간 방문자수도 전달 대비 크게 증가했다.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7월 배민의 월간 방문자수는 2312만 7800여명으로 전월(2228만 8000여명) 대비 3.7% 증가했다.

 

신한은행이 운영 중인 배달앱 땡겨요도 소비쿠폰 특수를 누리고 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땡겨요는 지난달 식음료 부문 앱 가운데 신규 설치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7월에만 신규 설치 건수가 80만 건에 달했다. 같은 기간 이용자 수는 238만 명으로 전달보다 75만 명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약 3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땡겨요는 소비쿠폰 지급 후 일주일(7월 21~27일)간 앱 사용자가 약 147만 명으로 전주(7월 14~20일) 대비 46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앱 중 가장 큰 증가 폭이다.

 

반면 쿠팡이츠는 다른 배달앱과 달리 소비쿠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쿠팡이츠는 주문부터 결제·배달까지 모두 자사 플랫폼 내에서 이뤄지는 구조로, 대면 결제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다. 때문에 쿠팡이츠 앱에서는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 영향으로 쿠팡이츠의 7월 월간 이용자 수 증가폭은 주요 배달앱 가운데 가장 낮았다. 배민과 요기요가 나란히 3%대 성장률을 기록한 반면, 쿠팡이츠는 1% 증가에 그쳤다.

 

배달앱에서 소비쿠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이더 또는 점포 측의 카드 단말기를 통해 결제해야 한다. 사진=임준선 기자

 

한편 정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준비 중이다. 2차 소비쿠폰은 9월 22일부터 지급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차 소비쿠폰은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의 약 90%에게 1인당 10만원씩 지급한다.

 

정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는 상위 10% 선정 방식에 대해 고민 중이다. 행안부는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고액 자산가 제외 기준,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에 대한 특례 적용 여부 등 2차 지급기준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9월 10일까지는 최종 기준이 마련될 예정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소비쿠폰 지급 이후 소상공인의 매출이 증가하고 국민 소비심리도 개선되는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향후에도 민생경제가 지속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소비 진작을 위한 추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

[핫클릭]

· 오픈AI, GPT-5 공개 "7조 적자지만 기업 가치 700조"
· [단독] 음저협, 우왁굳 팬게임 '왁제이맥스'에 65억 원 사용료 청구 논란
· [현장] "이런 것도 가능해?" 인천공항에서 만난 이색 여행 서비스
· CG인바이츠 vs 창업주, 미국 법원 가처분 결과 놓고 아전인수…주가는 뚝뚝
· 티메프 사태 1년…티몬 '재오픈' 속도, 피해자 구제는 '유야무야'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