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기준금리 인상, 예·적금 이자 가장 빨리 많이 올린 은행은?

카카오뱅크 0.5%p 인상 최고…KB국민은행은 0.25%p에 그쳐

2018.12.04(Tue) 10:41:12

[비즈한국] 한국은행이 지난 11월 30일 금융통화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75%로 0.25%포인트(p) 인상을 결정했다. 이에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등의 예·적금 상품 금리도 소폭 인상됐다. 그렇다면 시중은행들은 얼마나 올렸을까.

 

# 예·적금 이자율 톱 카카오뱅크, 0.5%p 올라 

 

예·​적금 금리를 가장 먼저 인상한 곳은 한국카카오은행(카카오뱅크)이다. 카카오뱅크는 30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바로 다음날인 12월 1일부터 예·​적금 상품 금리를 최대 0.5%p 올렸다. 1일이 주말인 토요일임에도 바로 금리 인상률이 반영됐다. 정기예금 금리는 만기 기간에 상관없이 0.3%p 올랐고 자유적금 상품도 만기 기간에 따라 최대 0.5%p까지 인상됐다. 5대 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 중 인상률이 가장 높다. 

 

카카오뱅크는 1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최대 0.5%p 인상했다. 사진=박정훈 기자

 

1년 만기 기준으로 1000만 원을 예금할 경우 카카오뱅크의 정기예금에 가입하면 세전 이자율 2.5%를 받을 수 있다. 5대 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의 예금 상품 중 가장 높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에 따르면 만기 시 받는 세후 이자는 21만 1500원가량으로 예상된다. 5대 은행 중 예금 이자율이 가장 높은 NH농협은행의 NH왈츠회전예금Ⅱ가 2.10%로 세후 17만 7660원의 이자를 받는 것에 비해 약 3만 3800원 많다. 

 

기준금리 인상 후 첫 영업일인 3일부터 우리은행, 신한은행, 케이뱅크도 예·​적금 금리를 인상했다. 우리은행은 적금 31개와 정기예금 16개 등 47개 상품의 금리를 0.1~0.3%p 올렸다. 신한은행도 예·​적금 상품 금리를 0.1~0.3%p, 케이뱅크도 최고 0.3%p까지 예·​​적금 금리를 인상한다.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은 4일 현재까지 금리 인상률을 수신상품에 반영하지 않았다. 자료=각 은행


# 금리 인상률 바로 반영한 우리은행, 국민·​농협·​하나은행은 아직

 

우리은행은 시중 은행 중 금리 인상률을 가장 빠르게 반영하는 편이다. 지난해에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1.25%에서 1.5%로 0.25%p​ 인상했을 때 바로 다음 날부터 수신금리에 반영했다. 올해 역시 주말을 제외하면 영업일 기준으로 하루 만에 인상률이 반영된 셈이다. 

 

반면 나머지 은행은 금리 인상률 반영에 더딘 모습이다. KB국민은행은 6일부터 정기예금 금리를 0.25%p 올릴 계획이며 IBK기업은행은 5일 예금고시 금리를 인상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KEB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은 12월 첫 주 중 예·​​적금 금리 인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당시 5대 은행은 예·적금 상품 금리를 0.1~0.3%p 올렸다. 당시 KB국민은행은 예·​적금 금리를 0.3%p씩 인상했다. KB스마트폰예금은 기존 1.2%에서 1.5%로 상향됐고, KB 1코노미 스마트적금은 1.6%에서 1.9%로 올랐다. 하지만 올해 인상률은 0.25%로 지난해보다 소폭 낮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등을 포함해 인상률이 0.3%p에 미치지 않는 곳은 KB국민은행이 유일하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확인 결과 KB국민은행의 예금상품(1년 만기 기준 1000만원 예금) 중 가장 이자율이 높은 것은 e-파워정기예금으로 세전 1.5%의 기본 이자율을 받는다. 현재 5대 시중은행의 예금상품 중 기본 이자율이 1.7%에 미치지 못하는 곳도 KB국민은행뿐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기준 금리가 0.25%p​ 상승한 만큼 그에 맞춰 금리 인상률을 결정했다. 금리 정책은 은행의 자금 사정이나 시기 등에 영향을 받아 지난해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


[핫클릭]

· [밀덕텔링] 일본의 항공모함 보유 현실화, 우리는?
· 새 인터넷은행 가시화, 네이버 너머 '파트너'에 쏠리는 시선
· [돈과법] '교수 조국'이었다면 '민정수석 조국'을 놔뒀을까
· [부동산 인사이트] 외환위기·금융위기 버틴 '안전가옥'의 비밀
· '안전은 공유가 안 되나요' 카셰어링 사고율 높은 까닭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