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아빠랑] 한양도성 숨은 성문 찾기, 광희문

'유교의 나라' 조선 도성 4소문 중 남소문…전쟁·개발 겪으며 거의 사라졌다 복원

2020.02.04(Tue) 10:05:15

[비즈한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사람 많은 곳이 부담스럽다면 고즈넉한 문화유적을 둘러보는 건 어떨까. 거기다 오랜 역사와 이야깃거리를 품고 있는 곳이라면 더욱 좋을 듯하다. 한양도성 4소문 중 하나인 광희문이 바로 그런 곳이다. 

 

유교의 나라 조선은 건국 당시 동서남북의 4대문에 인의예지라는 글자를 넣었고, 4소문에는 혜화문, 소의문, 광희문, 창의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광희문은 남소문이다. 사진=구완회 제공

 

서울 지하철 2, 4, 5호선이 만나는 동대문역사공원역, 사람들 몰리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길 건너 신당동 쪽으로 조금만 걸어가면 자그마한 옛날 성문 하나와 만난다. 우리에게 익숙한 남대문, 동대문과는 비교할 수 없이 아담한 문의 이름은 광희문(光熙門). ‘광명이 비치는 문’이라는 뜻을 담은 광희문은 태조 5년(1396) 한양도성을 지을 때 세워졌다. 

 

#조선 한양의 4대문과 4소문

 

광희문을 본격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먼저 늘 헷갈리는 서울의 옛 문들을 정리해볼까? 조선 건국의 주역 정도전은 처음 서울 도성을 설계하면서 동서남북의 성문에 ‘인의예지’라는 글자를 넣었다. 조선은 유교의 나라라는 사실을 천명한 것이다. 그리하여 동, 서, 남, 북대문은 각각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소지문’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이 중 북대문에 해당하는 소지문은 숙청문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숙정문이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4소문의 이름은 인의예지와 상관없이 지어졌다. 동소문은 혜화문, 서소문은 소의문, 남소문은 광희문, 북소문은 창의문이 되었다. 사실 광희문은 동남쪽에 세운 문으로 남소문은 따로 있었으나 방향이 불길하다며 곧 문을 닫고 광희문이 남소문의 역할을 한 것이다. 4대문과 4소문 중에서 일제가 길을 낸다며 강제로 철거해버린 서대문과 서소문은 여전히 복원되지 못한 상태다. 

 

북한산성과 남한산성의 문들은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조선의 산성에는 동서남북의 큰 문들뿐 아니라 곳곳에 작은 암문들을 두어 전투에 대비했다. 성문은 아니지만 궁궐의 정문 중에서도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들이 있다.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창덕궁의 돈의문, 덕수궁의 대한문 등이 그렇다. 하지만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이나 경희궁의 흥화문은 다른 궁궐들의 정문에 비해 낯선 이름들이다. 궁궐에는 정문 말고도 수많은 문이 저마다 이름을 가지고 있다. 

 

서울에는 성문도 궁궐 문도 아닌 옛 문들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홍지문이다. 숙종 때인 18세기 초반, 한양 도성과 북한산성을 잇는 탕춘대성을 지으면서 만든 문이 바로 홍지문이다. 

 

#모자이크 같은 성벽에 서린 아픈 역사

 

남소문인 광희문의 높이는 6m. 12.5m에 이르는 남대문의 절반이다. 키가 절반이니 덩치는 1/4 정도에 불과해 아담한 느낌이다. 근처에 청계천이 흘러 수구(水口)문이라고도 불렀고, 시신을 실은 장례행렬이 다녀서 시구(屍口)문이라도 불렀다. 조선 시대 한양에는 산소를 쓰는 것이 금지되었다. 따라서 반드시 시신을 도성 밖으로 가지고 나가야 했는데, 이때 이용된 문이 남소문인 광희문과 서소문인 소의문이었다. 광희문을 빠져나간 시신은 남산이나 용산 일대에 묻혔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시신들이 드나들었으니 광희문에도 영험한 기운이 서려 있다는 소문이 돌았고, 광희문 돌을 갈아 만든 ‘수구문 돌가루’가 무슨 만병통치약처럼 팔리기도 했단다.

 

임진왜란 때 파괴된 광희문은 숙종 때 다시 지어졌다. 이때 원래 있던 자리도 헷갈릴 만큼 완전히 파괴되어 흔적조차 가물가물해진 상태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는 일부 석재만 남을 정도로 파괴되었다가, 1966년 문 북쪽의 성곽을 헐고 도로를 확장하면서 성문의 기능마저 잃었다. 1975년 한양도성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사라진 문루를 다시 지어 그나마 성문의 모습을 갖추었으나 원래 자리에서 남쪽으로 15m쯤 옮겨졌다. 그때의 모습이 지금까지 이어지는 광희문은 모자이크처럼 다른 색깔의 돌들이 짜여 있다.

 

임진왜란과 일제 강점기, 한국전쟁, 이후 개발을 거치면서 광희문은 모자이크처럼 다른 색깔의 돌들로 짜여졌다. 사진=구완회 제공


문루의 추녀마루에 나란히 선 잡상들은 여전히 서울로 들어오는 나쁜 기운을 막아주는 듯하다. 사진=구완회 제공


지금은 찾는 사람 드문 잊힌 문화유산이 되었지만 문루의 추녀마루에 나란히 선 잡상들은 여전히 서울로 들어오는 나쁜 기운을 막아주는 듯하다. 광희문은 남산을 거쳐 숭례문에 이르는 한양도성길 3코스와 연결되니, 따뜻한 날에 들러 가볍게 걷는 것도 좋다. 

 

<여행메모>


광희문

△위치: 서울시 중구 광희동2가 105

△문의: 02-3396-4114(중구 문화관광)

△관람시간: 24시간, 연중무휴

 

필자 구완회는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여성중앙’, ‘프라이데이’ 등에서 기자로 일했다. 랜덤하우스코리아 여행출판팀장으로 ‘세계를 간다’, ‘100배 즐기기’ 등의 여행 가이드북 시리즈를 총괄했다. 지금은 두 아이를 키우며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역사와 여행 이야기를 쓰고 있다. ​​​​​​​​​​​​​​

구완회 여행작가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사이언스] 우주 팽창에 대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 [알쓸비법] '김명중은 아니다' 법률적 관점에서 본 펭수의 주인은 누구?
· [아빠랑] '직지'부터 백제 고분까지, 청주에서 박물관 여행
· [아빠랑] 한복 입고 한옥에서 경자년 설맞이, 남산골한옥마을
· [아빠랑] 지구 역사를 보고 만지고 체험하고,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