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중국인 인바운드 여행 시장은 어쩌다 '복마전'이 됐나

한국 업체는 '꽌시' 탓에 모객 안 되고 면세점 커미션도 규모 작으면 수익 못 내 '포기'

2019.06.14(Fri) 18:28:33

[비즈한국] 외국인이 한국을 여행하는 인바운드 산업에서 한국 여행사들의 존재는 미미하다. 대형 여행사의 경우에도 우리 국민의 해외여행을 취급하는 아웃바운드의 비중에 비해 인바운드는 겨우 1~2%에 그친다. 한 해 해외 출국자 수가 3000만 명에 육박하긴 하지만 한국에 들어오는 외국 여행객 수도 1500만 명이나 되니 무시할 수 없는 숫자인데 왜 여행사들은 아웃바운드에만 목을 매는 걸까.

 

인바운드 여행의 수익이 정상적인 여행 서비스에 따른 수익이 아닌, 따이공의 면세품 구입에 대한 커미션이 되면서 인바운드는 점점 더 한국 여행사들이 손대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인천공항 입국장 모습으로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없다. 사진=임준선 기자


대형 여행사들이 인바운드에 그다지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우선 무엇보다 모객이 어렵기 때문이다. 약 1500만 명의 외래 여행객 중 절반은 중국인이다. 중국 현지에서 한국으로 여행객을 보낼 때 대부분 한국 내 중국인 운영 여행사로 손님을 보낸다. 한국 여행사들이 우리 국민을 모객해 프랑스로 해외여행을 보낼 때 프랑스 현지의 한국인이 운영하는 여행사와 거래를 하는 것과 같은 모양새다. 

 

더구나 중국인들 사이에는 소위 ‘꽌시(关系)’​라 부르는 관계문화가 있다. 중국 문화에서 꽌시는 단순히 개인 간의 관계와 인맥을 넘어 국가 경영 전반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실체로 작용한다. 해외에서 중국인들이 자국인끼리 뭉치고 자신들만의 규율과 관계도에 의해 서로 돕는 문화는 이미 유명하다. 세계의 금싸라기 땅들을 차지하고 있는 차이나타운의 자생력과 굳건함만 봐도 ‘그들만의 리그’를 쉽게 짐작해 볼 수 있다.  

 

인바운드 여행업 관계자는 “중국은 베트남과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에 다리 등 기반시설을 지어줄 때도 현지인을 쓰지 않고 인부까지 중국에서 모집해 간다. 현장에서도 현지 식당과 숙박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중국인이 식당을 차리고 숙박시설을 지어 이용한다. 한마디로 돈이 중국인 안에서만 돌게 한다”며 “단순히 중국인의 머릿수나 그 파이만 계산해서 섣불리 중국인을 상대하는 사업에 뛰어드는 건 정말 순진한 생각”이라고 조언했다. 실제로 한국에서 중국인 상대 인바운드 여행업을 하는 업체들은 크건 작건 대부분 화교나 중국동포가 대표다. 

 

한국 업체는 애초에 중국인 여행객을 받기도 어렵지만 다른 문제도 있다. 여행객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 수익을 남기기는 어려운 구조다. 인바운드 여행의 수익이 정상적인 여행 서비스에 따른 게 아니라 따이공의 면세품 구입에 대한 커미션이 되면서 점점 더 한국 여행사들이 손대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중국계 인바운드 여행사 대표 K 씨는 “중국인들은 다단계식으로 따이공을 모은다. 따이공 10명이 A 팀에 들어가면 A 팀 10개가 모인 B 팀이 있고, 따이공 100명이 모여 있는 B 팀 10개가 다시 C 팀을 이루는 식이다. 맨 꼭대기에 있는 여행사가 이를 관리하며 면세점에서 받은 커미션 중 1%, 작게는 0.1%씩 떼고 다시 밑으로 내린다”며 인바운드 업계 마진의 속사정을 밝혔다. 

 

매출이 100이어도 비용이 99.9가 되는 셈이니 남는 게 별로 없어 보인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커미션 액수도 커져 0.1% 마진이라도 몇천 억 원이 된다. 인원과 규모가 커질수록 마진율이 따라서 높아지는 면세점의 룰 덕분에 따이공도 개별로 움직이기보다는 최대한 큰 규모의 조직 밑으로 들어가야 커미션을 더 받을 수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세금 문제도 명확하지 않게 된다. 면세점에서는 여행사에 지급하는 커미션을 마케팅 비용 등으로 처리 하는데 인바운드 여행사들이 이를 계속 더 작은 조직으로 내리다 보면 어느 단계에서는 매출과 비용의 증빙이 희미해진다. 수많은 하부 단계를 거치면서 중간 업자들이 더 많은 따이공을 확보하기 위해 일명 ‘현금 박치기’로 커미션을 지급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중간 업체가 세무조사를 받거나 세금이 밀려 파산을 하게 되면 대표는 폐업을 하고 다른 이름으로 업체를 차리기도 한다. 

 

대형 여행사 관계자는 “인바운드 여행 시장은 더할 수 없이 혼탁해져 있다. 중국 업체들이 인바운드 시장을 장악하면서 마이너스 투어피와 저가 출혈경쟁이 심해졌고 팔면 팔수록 출혈만 되는 구조상의 문제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이러한 박리 커미션 구조를 수익으로 가져가야 되는, 손 많이 가고 탈법적 요소도 적잖은 인바운드를 대형 여행사에서 손댈 이유가 없다”며 “그래서 대형 여행사는 차라리 직접 면세점을 운영해 매출을 늘리고자 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기업 면세점 관계자는 “면세점마다 특정 중국계 여행사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연결된 여행사에는 좀 더 유리한 커미션을 준다. 면세점 간의 경쟁이 워낙 치열하다보니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위해 조금이라도 ‘내 편’인 여행사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 관광학과 교수는 “중국계 여행사들이 인바운드 시장을 장악하고 면세점 커미션 구조가 여행시장을 지배하면서 중국인들의 한국 여행이 본질을 잃어가고 있지만 정부는 면세점 눈치만 보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송이 기자 runaindia@bizhankook.com


[핫클릭]

· [인터뷰] 상점에 짐 맡기는 '특허' 스타트업, 오상혁 럭스테이 대표
· '왜 꼭 SK베네피아에서만?' 근로자 휴가지원사업의 이상한 독점 구조
· "2천억 펀드로 글로벌 도약" 하나투어의 꿈과 현실
· 따이공 옥죄는 중국 전자상거래법, 우리 면세점 괜찮을까
· 중국인들의 한국여행은 어쩌다 이토록 참혹해졌을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