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한 주간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 100위권 주요 종목 시황과 흐름을 정리해 전달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종목은 물론 알트코인 시장의 주요 이슈, 글로벌 정책 변수까지 핵심 정보를 종합해 제공한다.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을 넷플릭스 보듯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11월 21일 오전 7시부터 11월 28일 오전 7시까지 주간 암호화폐 시장에서 카스파(KAS)가 43.42% 상승하며 주간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현재가는 86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2조 원대 중반이다. 블록을 병렬 처리하는 BlockDAG 구조를 사용하는 PoW 레이어1이라는 기술적 특징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코인으로, 빠른 처리 속도와 확장성을 이유로 관심이 유지되고 있다.
2위는 SPX6900(SPX)으로, 주간 상승률은 36.42%를 기록했다. 현재가는 1032원이다. SPX6900은 전통 금융 지수인 S&P500을 패러디해 만들어진 밈 토큰으로, 기술적 기능이나 실사용보다는 유머 코드와 기술적인 등락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경향이 강하다. 최근 시장의 밈토큰 유동성이 살아나면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3위는 WLFI로, 주간 기준 21.83% 상승해 237원에 거래되고 있다. WLFI는 World Liberty Financial 플랫폼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1을 중심으로 한 대출·교환 등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구조다. 다만 WLFI 가격은 여전히 9월 최고가 대비 약 절반 수준이며, 프로젝트 측의 토큰 환매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상승세는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4위는 모네로(XMR)로 20.19% 올랐다. 현재가는 59만 4388원이다. 모네로는 거래 내역과 금액, 참여자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게 설계된 프라이버시 중심 코인으로, 익명성을 중시하는 사용자층의 꾸준한 수요가 강점이다.
5위는 플레어(FLR)로 15.51% 상승해 22원에 거래되고 있다. 플레어는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지 않는 기존 체인에도 스마트 계약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 프로젝트이며, 체인 간 상호운용성과 다양한 디앱 활용을 핵심으로 내세운다.
같은 기간 에이브(AAVE)는 12.80% 상승했다. 현재가는 27만 3749원이며, 시가총액은 4조 1803억 원이다. 에이브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로 인기를 끌고 있다. 에테나(ENA)는 12.72% 상승했으며, 현재가는 424원, 시가총액은 3조 1479억 원이다. 팬케이크스왑(CAKE)은 12.02% 상승해 현재 3635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1조 2269억 원이다. 파이코인(PI)은 11.58% 상승해 403원이며, 시가총액은 3조 3658억 원이다. 비트코인 캐시(BCH)는 11.13% 상승해 현재가는 78만 2800원, 시가총액은 15조 6239억 원이다.
이번 주 시장은 밈토큰과 거버넌스 토큰이 단기 수급에 힘입어 상위권에 올랐고, 기술 기반 프로젝트들도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시장 전반에는 가격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며 다양한 자산군이 고르게 주목받았다. 다만 실사용성과 기술 구조에 따라 향후 흐름이 분리될 가능성도 있어 투자자들은 개별 프로젝트의 성격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비즈한국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김상연 기자
matt@bizhankook.com[핫클릭]
·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47주차 주간 암호화폐 상승률 1위 스타크넷
·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46주차 암호화폐 상승률 1위 유니스왑, 42.52% 상승
·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45주차 프라이버시 코인 '대시' 상승률 1위
·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44주차 '인간 인증' 휴머니티 프로토콜 상승률 1위
·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43주차 '비틀거리는 비트코인', 상승률 1위는 밈코어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48주차 암호화폐 상승률 1위 카스파](/images/common/side0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