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오롯이 작가를 지원하기 위한 기획으로 시작한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가 10년을 이어왔다. 처음 마음을 그대로 지키며 230여 명의 작가를 응원했다. 국내 어느 언론이나 문화단체, 국가기관에서도 시도한 적이 없는 유일한 일이었다. 그 10년의 뚝심이 하나의 가치로 21세기 한국미술계에 새겨졌다고 자부한다. 그래서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10년의 역사가 곧 한국현대미술 흐름을 관찰하는 하나의 시점’을 만들었다고 평가받는다. 이제 시즌11에서 한국미술의 또 하나의 길을 닦으려 한다.

예술의 가장 큰 힘은 상상의 자유다. 예술이 주는 상상력은 생각을 깊고 넓게 만들어 인류 문명 발달에 동력이 돼 왔다. 상상력은 엉뚱한 상황이 일상 속에 벌어졌을 때 활성화된다. 해가 넘어가는 서정적인 바닷가에 깨끗한 침대가 놓여있거나, 거실바닥으로 밀려들어오는 파도. 소파에서 바다가 쏟아진다면 어떨까. ‘세상에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현실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예술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어제가 오늘 같고 내일도 오늘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일상 속에서 이처럼 판타지한 풍경을 만난다면 어떨까. 예술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신선함도 이런 것이 아닐까.
지극히 평범한 소재를 새롭게 보이게끔 만들어주는 것은 명작의 조건 중 하나다. 미술사 속에서 만나는 수많은 명작들은 이처럼 익숙한 현실에서 새로운 모습을 찾아낸다.


조은주 회화는 우리 주변에 놓여 있는 사물이나 일상의 상황을 엉뚱한 풍경으로 만들어 신선한 자극을 준다. 바다와 침대, 장식장 속의 밤하늘, 거실 소파와 들판처럼 전혀 연관성이 없는 사물과 상황을 하나의 장면으로 연출해 우리를 의아해하게 만든다.
왜 이처럼 낯설고도 불편한 풍경을 보여주는 것일까. 이런 상징과 은유를 이용해 현대인의 지루한 일상에 윤활유 같은 활력을 불어넣고 싶다고 말한다.
그런데 작가의 엉뚱한 풍경이 억지스럽게 보이지 않는 이유는 세밀한 묘사력과 안정적인 구성력 덕분이다. 극사실회화에서 보이는 사실적 표현으로 사물의 실재감을 높이고 상황에 맞는 연출의 힘으로 빚어낸 풍경이 신비로운 느낌을 준다.

그의 작품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은 서정적인 바다다. 마치 영화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그의 화면에서는 이중적 감정이 묻어난다. 다소 퇴폐적인 우울함과 따뜻한 서정성이 그것이다. 두 개의 다른 감정이 생각하는 풍경으로 우리를 이끌어가는 셈이다. 바다는 소파와 침대에 담겨 있다. 바다는 생명의 고향이다. 이런 메타포를 작가는 주제로 삼았다.
“제게 바다는 엄마의 뱃속 같은 그런 곳이라고 생각됩니다. 그곳은 안온하고 하염없이 평화로운 곳이죠. 우리들 무의식 속 어딘가에 남아있는 본연 같은 이미지, 그걸 찾아내 위로받고 싶은 마음입니다.”
조은주의 엉뚱한 풍경은 상상력의 힘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신선함을 주고 위안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보고 싶다고 한다.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writer@bizhankook.com[핫클릭]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1] 김호준-시적 구성으로 연출한 풍경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1] 한아름-사소한 존재들의 파라다이스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1] 성주영-상처를 예술로, 도자 회화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1] 노이서-희망 가득 현대판 민화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1] 허찬-만화적 상상력을 회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