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비즈한국은 한 주간 암호화폐 시장의 시황과 흐름을 정리해 전달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종목은 물론 알트코인 시장의 주요 이슈, 글로벌 정책 변수까지 핵심 정보를 종합해 제공한다.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을 넷플릭스 보듯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7월 18일 07시부터 7월 25일 07시까지 콘플럭스(CFX)가 한 주간 76.26%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현재 가격은 245원으로, 시가총액은 1조 2556억 원에 달한다. 콘플럭스는 중국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빠른 거래 속도와 높은 확장성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강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테조스(XTZ)는 주간 상승률 35.31%를 기록하며 두 번째로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현재 가격은 1222원이며, 시가총액은 1조 2856억 원이다. 테조스는 스마트 계약과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자체적인 거버넌스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이 지속적으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에테나(ENA)는 27.10% 상승하며 세 번째로 높은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현재 가격은 657원이고, 시가총액은 4조 1784억 원에 이른다. 에테나는 이더리움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USDe를 개발해, 접근성이 더 높고 효율적인 아키텍처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같은 기간 펏지 펭귄(PENGU)은 18.86% 상승하며 주간 상승률 상위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 가격은 52원이며, 시가총액은 3조 3166억 원이다. 이 종목은 독특한 커뮤니티 기반의 프로젝트로, 팬덤을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과 이벤트가 투자자들의 흥미를 끄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유니스왑(UNI)은 16.47% 상승해 뒤를 이었다. 현재 가격은 1만 4131원이며, 시가총액은 8조 8847억 원이다. 유니스왑은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선두주자로, 자동화된 시장 메이커(AMM)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거래 환경을 제공한다.

스토리(IP)는 15.15% 상승했고, 현재 가격은 7129원이다. 시가총액은 2조 1006억 원에 달한다. 플레어(FLR)는 13.60% 상승하며 32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2조 2426억 원이다. 이더리움 클래식(ETC)은 12.76% 상승해 3만 1109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은 4조 7546억 원이다. 라이트코인(LTC)은 11.27% 상승하며 15만 5387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11조 8266억 원이다. 마지막으로 게이트 토큰(GT)은 9.74% 상승해 2만 4273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2조 9835억 원이다.

김상연 기자
matt@bizhankook.com[핫클릭]
·
[AI 비즈부동산] 25년 7월 3주차 서울 부동산 실거래 동향
·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29주차 암호화폐 상승률 1위는 '펏지 펭귄'
·
[AI 비즈부동산] 25년 7월 2주차 서울 부동산 실거래 동향
·
[주간 코인플릭스] 25년 28주차 암호화폐 상승률 최고는 '봉크'
·
[주간 코인플릭스] 2025년 27주차 암호화폐 상승률 '톱10'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