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에서 H-1B 비자 프로그램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하며 “우리는 훌륭한 노동자가 필요하다. 이 조치는 그 결과를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중국 국적 높은 비중…미국인 ‘기술 일자리’ 보호 명분
트럼프 행정부는 빅테크 기업이나 다른 대기업이 외국인 노동자를 교육해왔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비자 제도가 남용돼 미국인들의 임금 상승을 억누르고 기술 분야 일자리를 위협하며, 결과적으로 국가 안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시각이다. 추첨 방식이지만 일부 기업이 대량 신청을 통해 제도를 악용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빅테크 ‘혼란’…한미 비자 협상 복잡해지나
이번 조치 직후 글로벌 기업들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포고문에 서명한 당일 MS는 사내 이메일을 통해 H-1B 비자 보유자들에게 “당분간 미국 내에 체류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또 H-4 비자(가족 비자) 보유자 역시 미국을 떠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미국 외 지역에 있는 직원들에 대해서는 “내일(20일) 시한 내에 미국으로 돌아올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고 했다.

한국 기업과 한·미 간 비자 제도 개선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미국 내 한국 기업도 이공계 전문 외국 인력의 풀이 좁아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등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H-1B 비자는 주로 미국 내 글로벌 기업이 활용하기 때문에 한국 기업이 받을 타격은 제한적이라는 관측도 있다. 미국 법인을 둔 국내 기업의 경우 현지에서 근무할 국내 인력에 대해 대부분 주재원용 L-1 또는 E-2 비자를 발급받도록 하고 있어, 이번 조치로 인한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한·미는 최근 미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직원 300여 명이 구금된 사태 이후 비자 제도 개선 논의를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H-1B 비자의 문턱이 높아지면서 협상이 더욱 복잡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미 간 비자 문제의 해법 중에는 미국 내 취업이 가능한 H-1B 비자의 한국인 할당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비자 문제에서도 ‘미국 우선주의’에 따라 자국 이익을 철저히 챙기겠다는 미 정부 방침이 명확해지면서, 한국에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내세울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한국인 전문 인력의 단기 출장용 비자 신설 등 의제에 대해서도 양측의 견해 차가 상당할 수 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에 대해 “대통령의 세금 법안에 규정된 취업 허가, 망명 신청, 인도적 보호에 대한 일련의 수수료 인상과 맞물려 나타나고 있다”며 “신규 구금시설 확보, 이민 단속 요원 채용, 국경 장벽 건설 확대를 위한 재원 확보 목적”이라고 보도했다.
강은경 기자
gong@bizhankook.com[핫클릭]
·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 회장 2심 집행유예…향후 행보에 눈길
·
호텔신라,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권 반납 승부수 통할까
·
AI 업은 티맵, 내비 넘어 모빌리티 라이프 플랫폼으로 간다
·
[현장] "대표이사 포함 연말까지 인적 쇄신"…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수습 왜 늦었나
·
실적 부진에 꼼수 인상 논란 '설상가상'…교촌치킨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