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가장 보통의 투자] 'RE100은 생존비용' 탄소가 자산 되는 시대

'친환경'은 선택 아닌 필수…RE100 이행기업 및 ETF 등 장기적 투자 이뤄져야

2025.07.14(Mon) 10:43:17

[비즈한국] 이재명 정부가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본격 추진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관련 브리핑에서 “이번 정기국회에서 ‘RE100 및 에너지 조성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며 “에너지 대전환과 지역균형 발전이라는 대통령의 핵심 국정 철학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RE100 산단은 최우선 정책과제로 추진된다.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줄임말로, 국제 비영리단체 더 클라이밋 그룹이 주도하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이에 따라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참여하고 있고, 협력 공급망 업체들에도 이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대표 기업들도 참여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RE100은 이제는 환경을 위한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에 들어가기 위한 현실 문제가 되고 있다.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와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 국제 규제 강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풍력·태양광·전력 인프라 등 관련 산업과 기업, ETF에 대한 장기적 투자가 새로운 전략으로 주목받는다. 사진=생성형 AI

 

더 클라이밋 그룹은 최근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낸 공개서한에서 한국의 재생에너지 조달률이 낮아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될 위기에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 RE100 가입 기업 36개가 연간 68TWh(테라와트시)의 전력을 소비하지만, 재생에너지 조달률은 평균 12%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재생에너지 전환율은 각각 16.3%와 3% 미만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대만 TSMC가 2040년 목표를 설정한 것과 비교하면 10년이나 늦은 것으로, 글로벌 RE100 기업들의 평균 조달률인 53%에 크게 밑도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RE100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비용이 되고 있다.

 

RE100이 시급한 또 다른 이유는 글로벌 탄소 규제가 5년 안에 현실화되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을 본격 시행하고,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도 다가오고 있다. 탄소를 줄이지 못하면 세금 폭탄에, 공급망 배제도 이뤄질 수 있다. 수출 기업이 많은 우리나라에는 더욱 큰 위협이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RE100 기업들이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구매하고, 직접 투자하는 것을 활성화시키지 않으면 우리 기업들의 수출 역량은 낮아질 것”이라며 “이재명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환되는 것이 정당화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어떤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할까. 크게 세 가지다. 태양과 풍력과 같은 수혜 산업과 기업, RE100 이행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다.

 

한 연구원은 “5년 내에 국내 재생에너지 신규 설치량 현재 3GW 수준에서 10GW로 확대돼야 탄소장벽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며 “국내 매출 비중이 높은 풍력, 태양광 업체들, 전력망·기기 업체들은 안정적인 국내 시장 확보로 성장판이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진투자증권은 국내 에너지 관련 종목으로 한화오션·씨에스윈드·SK오션플랜트·LS마린솔루션, 유니슨·동국S&C(풍력), 한화솔루션·HD현대에너지솔루션·신성이엔지(태양광), HD현대일렉트릭·LS ELECTRIC·효성중공업·대한전선·일진전기(전력인프라) 등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직접 종목을 고르기 어렵다면 ‘KODEX 신재생에너지액티브’, ‘TIGER Fn신재생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ETF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물론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투자에는 시간이 걸리고, 정부 지원 없이는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규모 감세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에 서명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 역시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는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하고, 지나친 단기 급등 기대는 피해야 한다.

 

기후 변화는 더 이상 북극곰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돈을 보고 움직이는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RE100을 미래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움직이고 있다. 20년 전에는 ‘인터넷’에서 기회를 찾았다면 앞으로 20년은 ‘탄소’가 기회가 될 수 있다.​ 

김세아 금융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가장 보통의 투자] 세 남자의 전쟁, 내 돈은 어디로 가나
· [가장 보통의 투자] "금융 관련주는 심심해?" 코스피 5000 기대감에 뜨는 증권주
· [가장 보통의 투자]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기, 유가 130달러 시대 오나
· [가장 보통의 투자] 이스라엘-이란 충돌, 시장은 흔들려도 기회는 있다
· [가장 보통의 투자] "너무 달콤한거예요" 허니문 랠리 어디까지 갈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